중국 잘 봐야한다고 몇번에 걸쳐서 강조를 해 왔지.
지난번 글들에 이어서 또 살펴보자...
중국 독재... 공산당...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3. 21.
blog.daum.net/indipekr/550
중국 독재... 공산당...
중국자본의 상륙과 더불어서... 중국 자본의 상륙2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2. 8. blog.daum.net/indipekr/540 중국 자본의 상륙2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라던지, 무역구조라던지 여러 가지 요
blog.daum.net
많은 사람들이 이제 인식하기 시작했네... 중국 자본에 대해서... 이번, 조선구마사 사건만 봐도 이제 깨달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 그런데, 과연 이걸로 끝일까? 실제 중국 자본은 곳곳에서 활개를 치고 있다는걸 알아야 할 텐데...
탐사보도 세븐 111회. 차이나 머니, 우리 부동산을 노린다.
2021.1.2
"중국인들이 대림동의 상권을 장악했을 뿐 아니라 부동산도 상당수 매입했어요.", "중국 큰손들이 몰려와서 부동산 투기를 했어요." 제작진이 직접 확인해본 결과, 대림2동에서만 수십 채의 중국인 소유 주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울까지 침투한 투기 목적의 '차이나 머니'. 과연 중국인들의 투자 손길은 어디까지 뻗친 것일까 조명해본다.
지난 글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라던지, 무역구조라던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의 깨어있는 시민의식만이 중국 공산당의 잠식을 막는 길인데....
강원도 재정적자, 코오롱글로벌...
이 좋은걸 안한다고? 2 장난하냐? ㅋㅎ
시즌1--------/나의 이야기
2015. 8. 5.
blog.daum.net/indipekr/354
이 좋은걸 안한다고? 2 장난하냐? ㅋㅎ
ㅉㅉㅉ ... 간만에 하나만 좀 살펴보자...으이구 http://blog.daum.net/indipekr/171 ㅉㅉㅉ 도박, 카지노 관련 기사검색 http://blog.daum.net/indipekr/174 이 좋은걸 안한다고? 장난하냐? ㅋㅎ http://blog.dau..
blog.daum.net
홍천 차이나타운이 최문순이의 마음속의 일대일로라는 강원도만이 문제가 아니지... 실제 중국 자본은 곳곳에서 활개를 치고 있다는걸 알아야 할 텐데... 지난번, 중국 상해에서 유출된 공산당 명부에서부터, 국내에 활동중인 공산당 이야기도 했었는데... 쟈핑픽처스에 이어서 중국 공산당 간부... 박계옥... 천지인에듀 안은주... 중국 인민일보... 공자학원에 이어서... 이어지는 공산당까지...
이미 서울 대림동의 모 학교에서는 전체 학생의 70%이상이 중국인이지. 그래서, 학교에서 중국어 교육까지 병행하고 있는 상황이고... 나머지 30%에 달하는 한국학생들은 한국어랑 중국어를 동시에 배워서 좋겠다고? 으이구...
이 이야기도 지난번 글에서 중국 공산당이 일본 톳카이도의 고등학교에서 어떤일을 벌이고 있는지 이야기 했지. 중국학생 비중이 90%인 이 학교에서는 아침에 등교를 하면, 중국인 교장이 중국어로 훈화를 하고, 조례를 진행하지. 그리고는 중국의 국가인 의용군행진곡을 부르면서 조례를 마치고... 당에 대한 충성도 맹세하게 되겠지...
교육통계계서비스에 따른 2019년, 우리나라 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중인 전체 외국인수는 16만 165명. 그 중에서 중국인 유학생 수는 7만 1067명. 전체의 44.4%.

대학별로 중국인 유학생 수가 1000명 이상인 곳은 모두 17개교, 경희대, 성균관대, 중앙대에 이어 고려대 2508명, 한양대 2424명, 한국외대 1810명, 연세는 1400명, 이화여대 1304명, 서강대 1129명 순.

자칭 사회주의 계승자라는 중국인(한중혼혈)이 GOP에서 군 복무중국반응│대한민국 육군 병장으로 만기 제대한 한 예비역의 충격고백│난 붉은 피가 흐르는 사회주의 계승자!│내 마음 속에는 공산당이 있다! 그를 찬양하는 중국인들 반응
- 중국어로[路]
위 영상도 소개했었고...
Shànghǎi CCP List...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1. 10.
blog.daum.net/indipekr/528
Shànghǎi CCP List...
지난글에 이어서 또 보자... 제재, 동결, 압박 ... 그 다음은?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2. 20. 11:15 http://blog.daum.net/indipekr/520 제재, 동결, 압박 ... 그 다음은? 먼저, 지난번 글에 이..
blog.daum.net
신입생 2만명 급구!.. 4년제大 162곳 '죽기 살기 사람 찾기'
김소라 입력 2021. 02. 23. 05:06
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223009036
신입생 2만명 급구!… 4년제大 162곳 ‘죽기 살기 사람 찾기’
학령인구 감소의 여파로 4년제 대학의 2021학년도 대입 추가모집 인원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했다. 지방대학 중에는 많게는 800명 안팎을 추가 모집하는 대학이 있을 정도로 신입생 충원난이
www.seoul.co.kr
대입 추가모집 인원 작년의 2배.
학령인구 감소·코로나 재수생 증가 여파.
전체 추가 선발 90%가 지방대에서 발생.
인기학과인 '의·치·한'에서도 미달 사태.
"반수 등 개학 후에도 추가 이탈 가능성“.
앞으로도 많이 들어오게 되어 있지... 이 역시도, 위에서 이야기한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의 깨어있는 시민의식만이 중국 공산당의 잠식을 막는 길인데....
그리고, 이번에 다시금 중국 공산당이 반독점법을 이유로 알리바바에 3조원대 과징금 때렸지.
이 이야기도 몇번 한거 같은데 말이지.
판떼기 돌아가는 소리...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10. 25.
blog.daum.net/indipekr/497
판떼기 돌아가는 소리...
잘했던 잘못했던, 인간된 도리로서 인사는 드려야겠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어봅니다. 부디 좋은곳으로 가시길......... 삼성과 관련해서는 당분간 아무소리 말아야겠는데?, 뉴스들의 댓글들을
blog.daum.net
그리고, 10월 둘째주였나, 언제였나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주식 관련 유튜브 채널에 들어가서 몇마디 던지고 나왔던 날이 있거덩. 그때 했던 이야기가, 10월 첫째주에 나온 미 하원에서의 반독점 규제 보고서였는데. 이걸 토대로 앞으로 FAANG 관련해서는 반독점법위반으로 한방 얻어맞을꺼 같다고 이야기했었지. 그랬더니, 역시나...
카더라 통신, 유튜브 사기꾼들 말만 믿고, 대출 만땅 당겨서, 미국장으로 휘잉~~~~ 날아가서, 관련 주식에 몰빵한 인간들이, 아직도 반독점법 같은 소리하는 무식한놈이 있네라며 난리가 난 적이 있었지. ㅋㅎ.(원달러 환율 떨어지니, 언능 빚내서 더 사러 가야지?)
거기다가 또 다른 채널에서는 시장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돌아가는 것이라며 뭐래더라? 정부는 아무것도 하지말고 빠져야한다며, 정권 타도를 외치는데... 이렇게 가다가는 대네수엘라, 대리이스, 대르헨티나 된다면서, 입에 거품을 막 물더라.....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이야기도 함씨롱, 인민은행이 전자화폐를 발행해서 시중은행에 공급하고 이걸 온라인 상에서 각 개인에게 지급하여 결재하는 시스템이랜다. 나원참....ㅉㅉㅉ
중국...? ㅋㅎ 2 그리고 몇가지 더.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11. 25.
blog.daum.net/indipekr/514
중국...? ㅋㅎ 2 그리고 몇가지 더.
지난번 블로깅에서는 2020년 9월달에 나왔던, 중국관련 일부 소식들을 잠깐 살펴봤었는데, 이번에 중쿡에서의 몇몇 디폴트 사태가 뉴스에 화자가 되었지. 그것도 AAA등급이라고 알려졌었던... ㅉ
blog.daum.net
그리고, 위에서와 같이 중국 상업은행법, 인민은행법 등이 개정되면서, 중국의 자본시장이 개방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고 지난번 블로깅에서 이야기했고, 여기에 들어오는 자본들도 잘 보라고 했었는데... 역시나, 알리페이와 관련된 앤트그룹의 IPO에 엄청나게 몰려들고 있군. 지난, 4월 그러니까 코로나로 인하여 깔딱깔딱할때부터 국제 해지펀드들의 중국 진출이 시작되었었거덩. 이번엔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네.... 지난 2015년도에도 국제 해지펀드들 중국으로 돌격 아프로 하다가 두들겨 맞았었던거 기억들 하는지 모르긋네. 거기다가,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와 관련된 엄격한 통제... 요것도 볼 만한건데, 알리페이나 위쳇 요놈들은 이제까지 한번도 중국 당국의 규제를 받지 않고 성장한 놈들인데... 이번 인민은행법 개정과 관련해서 어찌될지도 생각해 둬야 할 껄? 무턱대고 중국 시장에 들이대는건.... .... 뭐, 이번엔 다르겠지. 중국의 국제적 위상도 있는데, 위안화의 패권도 노리고 있고...
또한, 이렇게 은행법들을 갑자기 선진기법에 맞춰서 변경을 하게 되면, 위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기존 중국내의 회계기준이라던지, 중국내에서 통용되던 법에 따라서, 혹은 중국 공산당에서 봐주면서 키워왔던 중국 내, 규모의 산업들은 미중간의 패권전쟁과 기축통화 전쟁에서 얻어 맞는것이 당하는 것이 당연하지. 또한, 법 개정으로 인하여 추가된, 디지털위안화. ---> 인민폐는 물리적형태와 디지털형태를 포함하며, 어떠한 법인이나 개인도 인민폐를 대신하는 디지털화폐를 만들고 판매할 수 없다. !!! 그게 바로 뒹쿡내에서 규제를 받지 않고 커 왔던 핀테크인 알리페이, 위쳇페이. 이건 위안화 기축통화의 꿈을 키우던 뒹쿡 시진핑과 당국에서도 용인하기 어렵지. ---> 시진핑의 특별지시에 의한 정보기술(IT) 대기업 반(反)독점·핀테크 산업 규제, 특히 알리바바, 텐센트 .... 이것도 분명히 이야기 해줬다. 미 하원 반독점법 규제 보고서 ---> 올려줘도 안보겠지만... 아니, 못보는건가? 하면서....
중국 공산당의 알리바바와 텐센트 국유화(부분적 국유화도 상관없음) ---> 알리페이, 위쳇페이 관련 플랫폼을 인민은행 즉 공산당 관리하로 이동(중국에서는 길바닥의 거지들도 알리페이나 위쳇페이로 구걸하는 사람들이 존재함. 즉, 그만큼 보편화 되어 있음) ---> 알리페이 및 위쳇페이 사용자들에게 디지털위안화 사용 법제화 ---> 선전시 3차 디지털위안화 시험 및 베이징에서의 추가 시험 --->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중국의 디지털위안화(DCEP)를 전세계인을 상대로 시험 운영 ---> 중국의 일대일로에 의해, 대중국 채무를 가진 아프리카 나라들을 상대로 디지털위안화로 거래 ---> RCEP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국가들로 확대.... ???
어쨋든간에, 중국 자본이 들어간 기업, 은행, 보험 등등 ---> 국유화, 중국 공산당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인민은행 아래에서 금융지주화 그룹에서 관리 ---> 중국의 디지털위안화 연계 ---> 중국의 기축통화 패권 달성 ---> 일대일로 및 동북공정 완성 ---> 중국의 전세계 패권 장악으로 중국몽 완성 ---> 전세계 공산화.
여하튼, 여러번에 걸쳐서 이야기를 해 왔지.
그러면, 중국 자본의 상륙3에 맞게 조금더 알아보자.
먼저, 아래는 2020년 8월을 기준으로 하는 Tencent Holdings 의 포트폴리오.(일부러 한국 관련 기업들이 보이도록 정렬했으니, 다운 받아서 자세히 살펴보길...)

테크 전문 분석가 패키 맥코믹이 수집한 중국 텐센트의 주요 포트폴리오입니다. 텐센트는 한국에만 46억달러(5조 800억원)을 투자했죠. 텐센트가 많이 투자한 5번째 국가에요. 미국엔 540억달러, 싱가포르엔 206억달러를 투자했네요. 테슬라 주식의 5%, 스냅 주식의 12% 등 텐센트가 투자한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살펴보세요.
[출처: 중앙일보] [팩플 레터] 마윈의 나비효과? 카카오페이와 '차이나 리스크'
텐센트가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을 좀 보자면, 리그오브레젼드 라는 게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게임개발사 Riot Games를 2015년도에 인수. 2019년 스웨덴 게임 개발사 Sharkmob 인수, 노르웨이의 Funcom 까지 인수... 그외에도 아주 많지.
우리나라에서도 실제 중국 자본은 곳곳에서 활개를 치고 있다는걸 알아야 한다고 했는데, 심각한 상황이지. KakaoBank, Leju, Bluehome, CJ Games, Kakao, NetMarble 등에 이어서, 텐센트의 국내 게임사 투자 소식은 올해만 벌써 네 번째. 지난 1월부터 액트파이브' '로얄크로우' '라인게임즈' '앤유'까지 국내 게임개발사에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는 건 아는지 모르는지...


상장을 앞둔 크래프톤에 ‘차이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중국 최대 게임 회사인 텐센트가 최대주주에 버금가는 지배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과 분쟁을 겪고 있는 나라가 늘고 있어 향후 성장성이 중요한 기업공개(IPO)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등재된 크래프톤 2020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이 회사 최대주주인 장병규 의장이 지닌 크래프톤 주식수는 140만5593주다. 2대 주주는 텐센트의 투자 자회사 이미지프레임인베스트먼트(IMAGE FRAME INVESTMENT(HK) LIMITED)로, 크래프톤 주식 132만8328주를 갖고 있다. 두 주주의 지분율은 각각 16.43%, 15.52%로 차이는 0.9%포인트에 불과하다. 크래프톤의 경영에 텐센트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크레프톤, 2020 사업보고서
www.krafton.com/kr/m/ir/ir_view.php?no=103


[단독]제2 카카오 게임즈될까...라인게임즈, 텐센트 등서 1000억 유치
2021. 03.15. 머니투데이
news.mt.co.kr/mtview.php?no=2021031415002234583
[단독]제2 카카오 게임즈될까...라인게임즈, 텐센트 등서 1000억 유치 - 머니투데이
네이버 손자회사 라인게임즈 투자유치해 사업확장 포석..기업가치 1조원 평가네이버의 손자회사인 라인게임즈가 사업확장에 시동을 건다. 최근 모회사 라인이 일본 야후...
news.mt.co.kr
네이버 손자회사 라인게임즈 투자유치해 사업확장 포석..기업가치 1조원 평가
네이버의 손자회사인 라인게임즈가 사업확장에 시동을 건다. 최근 모회사 라인이 일본 야후와 경영통합한 가운데 라인게임즈가 중국 텐센트 등으로부터 1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는 것이다. 이에 따라 네이버와 카카오의 게임 부문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SSG.COM
쓱닷컴 김치 제품의 분류 오류에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한 이유는 회사 출범 초기부터 이어진 차이나머니 투자와 관련 깊다. 쓱닷컴은 2018년 10월 사모펀드인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블루런벤처스 등으로부터 총 1조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어피너티 측이 2022년까지 3000억원을 추가 투자하면 쓱닷컴 지분률이 30%(기존 23%)로 늘어나게 된다.
(주)컬리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도 홍콩 벤처캐피탈 회사인 세콰이어캐피탈차이나를 비롯해 중국 힐하우스 캐피탈 등에 지속적으로 자금을 수혈 받아 외국계 벤처캐피털 지분이 절반을 넘긴 상태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창업자 김슬아 대표의 지분은 6.67%다. 마켓컬리는 현재까지 4200억원가량 투자금을 유치했다.
티몬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티몬도 홍콩계 사모펀드 앵커에쿼티파트너스와 미국계 사모펀드 KKR이 각각 지분 44%씩을 소유하고 있다. 티몬은 국내 최초 소셜커머스로 쿠팡에 비견되던 시기도 있었다. 현재 준비 중인 코스탁 상장이 성공하면 투자금 회수로 국내 자본 유출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다.

국내 상장 중국기업
골든센츄리
-국내 상장 중국기업/ 농업
-중간 지주회사 홍콩금세기를 100% 자회사로 보유하고 지주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그룹 내에서 실질 영업회사는 중국 내에있는 손자회사 양주금세기(주제품 : 트랙터용 휠), 증손자회사 낙양동방홍(주제품 : 트랙터용 휠) 및 낙양금세기임.
-한편, 낙양금세기는 2019년 12월 30일 트랙터용 타이어 제조 분야 영업정지.
윙입푸드
-중국기업/ 아프리카 돼지열병
-중국내 영업자회사인 광동영업식품 유한공사를 완전 자회사로 보유한 홍콩지주회사.
-100% 지분을 보유한 광동영업식품유한공사가 돼지고기 및 가금류를 건조, 훈연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여 식용 가능한 육가공품을 제조.
-손자회사로 훠얼궈스영업브랜드비지니스서비스유한공사도 보유.
크리스탈신소재
-중국기업/ 그래핀
-케이만제도에 설립된 중국계 지주회사로 사업자회사인 장인유자주광운모유한공사(유자)를 통해 합성운모 플레이크, 합성운모파우더, 운모테이프(천연, 합성, 혼합 등)를 주사업으로 영위.
-차세대 신소재인 그래핀을 응용한 복합소재 제품인 그래핀 방부 도료 소재진출을 추진 중.
-19년 8월 유자는 그래핀사업 진출 위해 장쑤탄구얼웨이스지에과기유한공사(탄구) 지분 85%를 취득.
이스트아시아홀딩스
-국내상장 중국기업/ 패션, 의류
-홍콩에 설립된 지주회사.
-복건성치우즈체육용품유한공사(스포츠용 신발의 설계/ 생산 및 의류의 판매), 동아(중국)혜복유한공사(스포츠용 신발 및 의류의 생산판매), 동아체육용품유한공사(스포츠 신발과 의류 마케팅) 등을 자회사로 보유.
-천주신동아신발제조유한공사 (토지사용권 및 건물임대), 이스트아시아의료관리유한공사 등을 손자회사로 보유.
글로벌에스엠
-수소차/ 국내 상장 중국기업
-케이만제도에 설립된 지주회사.
-Seoul Metal (H.K.), SM(WH), SM(TJ), SM(HZ) 등 4개 자회사를 100% 소유하고 있으며, 4개 자회사는 동관법인, 위해법인, 천진법인, 혜주법인을 각 100%를 소유.
-스페인법인을 통해 알루미늄 단조개발이라는 과제명으로 미래 산업 전기, 수소자동차 경량화 연구개발을 진행.
오가닉티코스메틱
-중국기업/ 화장품
-중국소재 중간지주회사 외상독자기업(WOFE) 푸젠통호무역유한공사(통호무역)를 100% 자회사로 보유한 홍콩 지주회사.
-실질 사업을 영위하는 손자회사 해천약업은 중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샴푸, 바디워시, 바디로션 등의 피부케어, 클랜징 제품 등과 모기퇴치약, 파우더 등과 같은 여름용 화장품을 생산, 판매하는 유아용 화장품 전문업체임.
-손세정제 판매/ 의료용 마스크 생산개시.
-홍콩 화장품 기업 지분 인수를 위한 169.78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로스웰
-국내상장 중국기업/ 전기차
-홍콩에 설립된 지주회사.
-주요 사업회사로 자동차 전장부품 제조업체 중국 강소로스웰을 (전자제어시스템을 기반으로 차량용 전장부품의 연구개발, 제조와 차량용 에어컨 및 히터 등 공조제품 제조 및 판매업체.) 보유.
형셩그룹
-국내상장 중국기업/ 출산장려/ 엔젤산업
-실질영업자회사인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와 췐저우Jazzit어페럴유한회사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한 홍콩 지주회사.
-완구제품및 완구부속품 제조업체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와 아동의류 판매업체 췐저우Jazzit어페럴유한회사 지분 100%를 소유.
컬러레이
-중국기업/ 화장품
-화장품용 진주광택안료 제조업체 저장컬러레이과기발전유한공사(자회사)를 종속회사로 보유한 홍콩지주회사.
-저장컬러레이과기발전유한공사 지분 100% 보유.
-화장품용 안료의 연구개발 및 판매업 영위하는 컬러레이코리아 자회사 편입.
-상승이슈 : 광군제겨냥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물품 공급.
씨케이에이치
-국내상장 중국기업
-케이만군도에 설립된 지주회사.
-자회사 복건금산대도(그룹) 유한공사와 손자회사 복건영생활력생물공정유한공사 등 9개 회사를 지배.
-손자회사인 복건영생활력생물공정유한공사 등이 중국 내 건강식품 제조 및 가공사업 등을 영위.
-19년 3월 한국에 설립된 100% 자회사 씨케이에이치건강산업주식회사를 통해 휴메딕스와 화장품 개발 및 유통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중국 화장품시장에 진출.
차이나머니의 K콘텐츠 산업 침투는 게임 산업과 대형 연예인 기획사를 중심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두드러진다. 우선, 국내 여러 대형 기획사가 차이나머니의 영향권에 있다. 빅뱅, 블랙핑크, 위너, 아이콘 등이 소속된 YG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중국 기업인 상하이 펑잉 경영자문파트너십과 텐센트 모빌리티의 지분이 12.52%를 차지하고 있다. 양현석, 양민석 YG엔터테인먼트 전 대표의 지분율은 각각 17.32%, 3.56%다.
AOA, FT아일랜드, CN블루, 등 가수와 유재석, 노홍철, 정형돈 등 방송인이 소속된 FNC엔터테인먼트는 중국의 쑤닝유니버셜미디어가 지분 22%를 보유하고 있다. 한성호 회장이 보유한 22.02%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상장 당시 64%에 달하던 한성호 회장 일가의 지분은 현재 30%대로 줄었다. 한승훈 대표가 8.78%, 한 대표의 아내인 김수일 오엔이컴퍼니 대표가 3.36%를 보유하고 있다.
보아, 엑소, 소녀시대 등 가수와 강호동, 신동엽, 이수근, 김병만 등 방송인이 속해있는 SM엔터테인먼트에도 지난 2016년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자금이 355억원가량 유입된 바 있다. 지분율은 4% 수준으로 알려졌으며 최대 주주인 이수만 회장의 지분은 18.74%다.
국내 게임 산업에서는 텐센트발 차이나머니의 존재감이 돋보인다. 국내 2위 업체 넷마블은 텐센트의 자회사 한리버 인베스트먼트가 지분 17.56%를 가지고 있다. 최대 주주인 방준혁 의장(24.18%)과 2대 주주인 CJ ENM(21.83%)에 이은 3대 주주다.
‘배틀그라운드’로 우뚝 선 크래프톤도 일찍이 차이나머니가 투입된 바 있다. 텐센트의 자회사인 이미지 프레임 인베스트먼트가 지분 13.33%를 가지고 있다. 최대 주주인 장병규 의장은 지분 17.63%를 보유 중이다. 텐센트는 크래프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히트작 배틀그라운드의 모바일 버전 게임인 ‘펍지 모바일’의 공동 개발과 글로벌 서비스 권을 따내기도 했다.
국대 대표 플랫폼 사업자 카카오 또한 텐센트의 자회사 멕시모가 지분율 6.7%를 가지며 주요 주주로 자리잡고 있다. 김범수 의장(14.9%)와 케이큐브홀딩스(11.9%), 국민연금공단(8.1%)에 이어 4번째로 많은 보유량이다.
한국게임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우리나라 콘텐츠 육성에는 자본이 필요하고 국내 투자 여건이 비교적 좋지는 않기 때문에 해외 자본이 들어오는 건 긍정적”이라면서도 “중국이 시장을 점령할 수도 있는 점은 우려된다”고 밝혔다. 위정현 교수는 “중국의 한국 투자를 보면 병아리를 키워서 잡아먹는 형태”라면서 “중국 전체 투자 규모와 비교하면 국내 투자는 극히 작은 액수지만, 종종 잭팟을 터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투자가 이어지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 예로 SBS 방영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중국에 판권을 약 6억원에 넘겼지만, 중국에서 약 1500억원의 수익을 발생시킨 바 있다.
게임 산업 측면에선 향후 판호(중국의 영업허가권) 발급에 따른 중국 진출 가능성과 산업 종속 우려가 공존한다. 김사익 YK게임즈 대표는 “중국의 투자를 받은 기업은 한한령이 풀리고 판호 발급이 재개됐을 때 중국 진출에 좀더 용이할 것”이라면서도 “차이나머니 비중이 커지면 한국이 중국의 게임 공급을 위한 외주 국가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과거에 번번이 일어나던 중국의 인력빼가기도 이젠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이젠 개발력에서 한국을 앞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中 게임 국내 모바일 차트에 큰 존재감
중국산 모바일 게임은 국내 앱마켓 시장에서 유저수와 매출 모두 긍정적 지표를 기록하고 있다. 구글플레이 스토어에 따르면 1월 2일 기준 모바일 게임 매출 순위 톱20에서 중국 게임은 6개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중국산 게임이 톱 10의 절반 가량을 차지할 정도였지만, 최근 ‘리니지2M’ ‘V4’ ‘달빛조각사’ ‘엑소스히어로즈’ 등 대작이 연달아 출시되며 주도권을 다시 가져온 형국이다.
그러나 중국산 게임의 국내 시장 공략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가 뒤집힐 가능성은 여전하다. 매출 순위 톱 50으로 범위를 넓히면 중국산 게임은 16개로 더욱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라이즈 오브 킹덤즈’ ‘기적의검’ ‘라플라스M’ ‘왕이되는자’ ‘랑그릿사’ ‘황제라 칭하라’ 등 중국산 게임이 매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찍히면 퇴출… 중국 정부의 콘텐츠 검열 강화
하지만 낙관적인 전망만 흐르는 것이 아니다. 중국은 출판물에 대한 사전검열이 높은 국가 중 하나다. 이는 온라인 출판물 역시 마찬가지다. 게임, 영화, TV 프로그램, 서적 등 모든 콘텐츠가 정부 기관의 검열을 받아야 한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지 못하면 정상적인 경로로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없다. 중국 정부는 이 부분을 통치에 유리한 쪽으로 활용하고 있다. 사실상 중국 매출이 큰 콘텐츠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호의적인 콘텐츠를 쏟아내기 바쁜 상황이다.
중국의 입김에 좌지우지되는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 소비자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돈의 논리에 표현의 자유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단편적인 예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NBA(미국프로농구), EPL(영국프리미어리그)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대릴 모레이 NBA 휴스턴 로키츠 단장이 ‘홍콩을 지지한다’라는 발언을 한 직후 NBA 경기 생중계를 취소한 바 있다. 또 최근에는 EPL 아스날 메수트 외질 선수가 위구르족 탄압에 대한 비판하는 글을 게재하자 게임, 인터넷, TV에서도 외질의 존재를 삭제하고 있다.
반면 중국 정부의 지나친 규제에 발을 맞춰 살아남는 기업도 있다. 바로 월트 디즈니다. 월트 디즈니는 중국 매출을 위해 홍콩 시위 및 반(反)중국 관련 콘텐츠 노출을 지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디즈니의 캐릭터 ‘푸’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희화화하는데 사용되자 중국 국내 검색 포털에서 차단된 일도 있었지만, 디즈니는 여기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일부 캐릭터가 중국의 입김에 차단되더라도 막대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중국 사업을 포기할 수 없다는 이유로 해석된다.

신랄하게 중국 정부를 비판하는 콘텐츠 기업도 생겨났다. 바로 미국 인기 애니메이션 사우스파크다. 사우스파크는 푸부터 위구르족 탄압까지 중국의 검열 시스템을 비판하는 에피소드를 담은 콘텐츠를 생산했다. 당연히 중국 정부로부터 전면 차단됐다. 현지 동영상 서비스부터 사우스파크와 관련된 사이트까지 모두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삭제됐다. 이에 사우스파크는 지난해 10월 7일(현지시간) 중국 정부를 조롱하는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사우스파크는 중국 시장을 아예 포기할 심산으로 신랄하게 비판을 이어갔다. 사우스파크 제작자인 트레이 파커와 멧 스톤은 “우리는 마음속으로 중국의 검열을 환영한다. 우리도 민주주의와 자유보다는 돈을 더 사랑한다. 시 주석은 전혀 곰돌이 푸와 닮지 않았다"라고 조롱했다.
차이나머니의 함정, 지나친 간섭과 규제로 일색
초연결로 가는 플랫폼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유니콘 콘텐츠 기업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여기에 중국 자본은 경계 대상 1호로 꼽히고 있다. 강력한 내수 시장으로 자본을 가진 중국 ICT 기업들은 공격적으로 해외 기업에 대한 투자를 단행해왔다. 늘어나는 중국 자본은 점점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사실상 중국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 도래하고 있다.
당장 글로벌 게임 산업만 보더라도 중국 자본에 자유롭지 못하다. 양대 게임 엔진 기업인 유니티 테크놀로지, 에픽게임즈는 모두 중국 자본에 종속됐다. 또 유명 게임사 라이엇게임즈는 텐센트의 자회사로 편입됐으며, 슈퍼셀,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 등에도 중국 자본이 흘러 들어갔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대표적인 게임사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등에도 중국 자본이 유입됐다. 지난해 초 넥슨 매각에서 가장 유력한 인수자로 거론된 회사가 바로 텐센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중국 자본 유입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뒤늦게 산업화를 이룬 중국이 거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하나의 산업을 독점한다는 이유에서다. 더 큰 문제는 중국 자본이 유입된 산업이 성장했을 때다. 산업이 고도화됐을 때, 중국 정부가 행사하려는 영향력은 더욱 큰 파장을 몰고 올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콘텐츠 산업은 중국 시장을 버릴 수 없다. 곰돌이 푸 사건은 우연적인 요소일 뿐이다. 세계적인 콘텐츠 기업들도 중국 자본과 시장을 무시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다”라며 “자본 시장의 논리는 무섭다. 이에 따라 콘텐츠 기업들이 중국의 정치적인 이슈를 건들지 않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설계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위정현 교수는 “향후 중국 정부의 콘텐츠 검열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내부결속을 흔드는 콘텐츠에 대해 경계하고 있다”라며 “이데올로기를 포함한 콘텐츠를 활용한 과거 소련을 보고 중국을 이해하면 된다. 중국은 지도부부터 중국몽(中國夢)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를 중국인에 대한 우월성을 전파하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차이나게이트, 러시아게이트... 중국은 잘 봐야지.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2. 6.
blog.daum.net/indipekr/538
차이나게이트, 러시아게이트... 중국은 잘 봐야지.
트럼프를 이용해서 잘들 놀았지?... ㅎㅎㅎ 각종 음모론에 결부시켜, 러시아게이트에 이어서 차이나게이트까지... 중국 공산당은 조심해야지. 뭐, 좋다. 하지만, 중국쪽은 잘 봐둬야될껄... ㅋㅋ
blog.daum.net
중국 공산당 시진핑의 뜻대로 돌아가는거 같지?.... ㅋㅋㅋ
어익후~~~~~~~~ 이제 바이든이 당선 되었으니, 중국 공산상의 일대일로와 동북공정의 완성이 코 앞에 다가왔고, 중국의 패권국가가 당연시되며, 시진핑의 중국몽이 이루어지겠구나.... 어서 빨리 공산당에 충성 맹세하고 공산주의 체제하에서 목숨이라도 부지해야되지 않겠어?

지난 글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라던지, 무역구조라던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 그렇다면, 많은 사람들의 깨어있는 시민의식만이 중국 공산당의 잠식을 막는 길인데....
제재, 동결, 압박 ... 그 다음은?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12. 20.
blog.daum.net/indipekr/520
제재, 동결, 압박 ... 그 다음은?
먼저, 지난번 글에 이어서 또 보자. 중국...? ㅋㅎ 2 그리고 몇가지 더.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25. 05:28 http://blog.daum.net/indipekr/514 중국...? ㅋㅎ 2 그리고 몇가지 더. 지난번 블..
blog.daum.net
미중간의 패권전쟁은 계속된다고도 했고, 이건 코로나가 끝나도 계속된다고도 했지. 대중국 양털깍기 이야기도 했고, 2023년 잘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고도 했고... 버틸수 없으면 간다고도 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소득에 맞는 생활과, 각자 자신의 신용관리에 부단한 노력을 기해라고도 했고, 그리고 개인의 유동성 확보는 필수 !!!... 나중에 반드시 신용관리 안한 것과 유동성 확보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게 될 테니까 말이지.... 몇번에 걸쳐서 말해줬는데...
으이구 ~~~~~~~~~~~~~~~~~~~~ 쾅 !!!
사기, 조작, 왜곡, 구라, 뻥질 금지... 그리고 극단적 선택 금지...!!!
ps) 이번 보궐선거로 당선된 1년짜리 지자체장... 특히, 다섯살훈이... ㅋㅎ. 고작 1년하고 관둘려고 10여년만에 서울시장에 나왔을까. MB정권때는 다들 까먹었나보군... 한강 르네상스로, 경인운하를 통해서 중국 상하이와 홍콩까지 연결하여, 중국 관광객 대거 유치하려는 일대일로 계획이 안보이는건가? 거기다에 덧붙여서, 부동산투자이민제... 요즘은 약간 시들하지만, 공인사업투자이민제가 뜨고 있다는건 또 어떻게 봐야하는건지 생각해 봐야하지 않겠어?, 원금보장되고 영주권도 얻고, 거기다가 특정 기간 거주요건 완료하면, 지자체장 투표권도 나오는데 말이지... ㅉㅉㅉ
ㅉㅉㅉ ... 간만에 하나만 좀 살펴보자...으이구
시즌1--------/나의 이야기
2010. 8. 24.
blog.daum.net/indipekr/171
ㅉㅉㅉ ... 간만에 하나만 좀 살펴보자...으이구
으 이구, 우라질 된장할..... 살펴볼 내용은 초울트라 캡쑝 짱 많지만, 거두절미하고, 흥미있는 뉴스가 하나 떠서, 거기다가 PD수첩도 방영한다고 하니, 한번 살펴보고 가자. 글에서 언급하지 않은
blog.daum.net
참조.
[팩플 레터] 마윈의 나비효과? 카카오페이와 '차이나 리스크'
[중앙일보] 입력 2021.02.24 11:00
정원엽 기자 사진정원엽 기자
news.joins.com/article/23998864
[팩플 레터] 마윈의 나비효과? 카카오페이와 '차이나 리스크'
· "제발…" 카카오페이의 읍소 : 다급해진 카카오페이는 궁여지책으로, "우리는 형사처벌 받은 적 없습니다"라는 징셴둥(井賢棟) 앤트그룹 회장의 서명을 받아다가 한국 금융위에 냈다. 배재현
news.joins.com
[K콘텐츠 차이나머니 공습①] ‘독사과’ 차이나머니, 국내 콘텐츠 산업 침투
한국 주요 IT·엔터테인먼트 기업에 넘쳐나는 차이나머니
기자명 전현수 기자 입력 2020.01.09 11:06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0443
[K콘텐츠 차이나머니 공습①] ‘독사과’ 차이나머니, 국내 콘텐츠 산업 침투 - 이코노믹리뷰
[이코노믹리뷰=전현수 기자] 세계 2위 경제 대국 중국의 ‘차이나머니’가 전 세계에 침투하고 있다. 차이나머니는 자본이 부족한 국가 또는 기업에 경제 활력을 높인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
www.econovill.com
[K컨텐츠 차이나머니 공습②] “중국산이 더 재밌다” 휩쓸리는 한국 게임 시장
국내 앱마켓 매출 톱20에 中 게임 7개
기자명 전현수 기자 입력 2020.01.09 11:10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0646
[K컨텐츠 차이나머니 공습②] “중국산이 더 재밌다” 휩쓸리는 한국 게임 시장 - 이코노믹리뷰
[이코노믹리뷰=전현수 기자] 격해지는 ‘차이나머니’ 공습에 국내 게임 산업은 중국산 게임에 안방까지 내주고 있다. 다수의 중국산 모바일 게임이 국내 유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 때문이다
www.econovill.com
[K컨텐츠 차이나머니 공습③] 글로벌 콘텐츠 산업, 차이나머니 종속 우려
차이나머니에 휩쓸리는 글로벌 콘텐츠 산업
기자명 황대영 기자 입력 2020.01.09 11:11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0726
[K컨텐츠 차이나머니 공습③] 글로벌 콘텐츠 산업, 차이나머니 종속 우려 - 이코노믹리뷰
[이코노믹리뷰=황대영 기자] 중국이 글로벌 콘텐츠 산업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게임,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중국 자본이 밀물처럼 밀려오고 있다. 특히 주요
www.econovill.com
차이나머니 대공습…유통업도 중국 동북공정 손 뻗쳤나
이하영 기자 승인 2021.04.06. 19:25
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744
차이나머니 대공습…유통업도 중국 동북공정 손 뻗쳤나 - 인사이트코리아
[인사이트코리아=이하영 기자] 중국의 동북공정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국내 유통업계에 차이나머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3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마트몰 밀키트 코너에 ‘김치전’
www.insightkorea.co.kr
‘IPO 大魚’ 크래프톤 최대주주 노리는 텐센트…“상장 과실은 中 기업에”
조선비즈 박진우 기자
입력 2021.04.02 06:00 | 수정 2021.04.02. 10:21
‘배틀그라운드’ 크래프톤, 올해 IPO 목표
최대주주 장병규 의장 지분율 16.43%
中 텐센트 지분율 15.52%로 0.9%p 차이
‘차이나 리스크’ 커져 회사에 악재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01/2021040102585.html
‘IPO 大魚’ 크래프톤 최대주주 노리는 텐센트…“상장 과실은 中 기업에”
‘배틀그라운드’ 크래프톤, 올해 IPO 목표최대주주 장병규 의장 지분율 16.43%中 텐센트 지분율 15.52%로 0.9%p 차이‘차이나 리스크..
biz.chosun.com
연봉·성과급 잔치한 '크래프톤' 이유 있네…영업익 '게임계 대기업' 3N급
'배그 모바일' 최대 실적 견인…아시아 매출 84%
일부 '차이나 리스크' 우려…인도 서비스 재개는 언제쯤?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2021-04-06 07:15
www.news1.kr/articles/?4264654
연봉·성과급 잔치한 '크래프톤' 이유 있네…영업익 '게임계 대기업' 3N급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텐센트, 中 '신장 인권' 보복 제재 선봉장…국내외 게임사 '긴장'
텐센트, 자사 게임서 버버리·나이키 아이템 삭제
중국 자본, 국내외 막론하고 대형·인디 게임사 침투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2021-04-02 07:00
www.news1.kr/articles/?4259923
텐센트, 中 '신장 인권' 보복 제재 선봉장…국내외 게임사 '긴장'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그리고, 아직도 4차산업이 사기라고 생각들을 하는 사람들이 있나? 이제는 없겠지?? ㅉㅉㅉ
중국...? ㅋㅎ 2 그리고 몇가지 더.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11. 25.
blog.daum.net/indipekr/514
중국...? ㅋㅎ 2 그리고 몇가지 더.
지난번 블로깅에서는 2020년 9월달에 나왔던, 중국관련 일부 소식들을 잠깐 살펴봤었는데, 이번에 중쿡에서의 몇몇 디폴트 사태가 뉴스에 화자가 되었지. 그것도 AAA등급이라고 알려졌었던... ㅉ
blog.daum.net
거기다가, 4차산업혁명은 아무것도 아닌, 사기라는 유튜버도 있네... 뭐? 1차 베이비 부머 세대가 은퇴하고나면, 일자리가 지천에 깔려 널부러지니, 젊은 친구들은 취직이 안된다는 걱정 붙들어메고, 그냥 2~3년 해외여행도하고, 잘 먹고, 놀러다니면서 때를 기다리라는 헛소리까지 남발하고 자빠졌네... ㅋㅎ, 그러니, 또 좋아요~~~~ 추천, 꾹~~~ 하면서 수퍼쳇 십일조를 몇만원씩 상납하고.... ㅋㅎ
어처구니가 없어서............................................... 맷돌을 못 돌리겠다...
4차 산업에서의 기술인 VR, AR, MR, XR 을 잘 보여주는 영화인 Ready Player ONE. 일부는 실제 구현되어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도 사기지? ㅋㅎ 아니구나, 영화일 뿐이지?? ㅉㅉㅉ
SF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이르면 2년 내 현실된다
오동현 입력 2021. 04. 11. 07:59
newsis.com/view/?id=NISX20210409_0001401919
SF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이르면 2년 내 현실된다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혼합현실(XR)의 미래를 그린 SF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의 세상이 이르면 2023년 실현될 전망이다
www.newsis.com
'시즌 백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위기의 현실 (0) | 2022.11.07 |
---|---|
진실이라는 미명 아래, 구독자 늘리기에 혈안인 유투버들... (0) | 2022.11.07 |
알아도 몰르는척, 몰라도 모르는척... 하지만 ... (0) | 2022.11.07 |
중국 독재... 공산당... (0) | 2022.11.07 |
복합적으로 봐야할텐데...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