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 또 좀 볼까? ㅋ
12월의 연준의 양적완화와 관련해서 말이지...
우선, 지난 11월에 블로깅했던 내용을 상기하고, 또 살펴보자.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23. 07:53
http://blog.daum.net/indipekr/512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우선, 앞서 블로깅했던 내용들을 몇개만 보고 가자. 이걸 통해서, 거대한 흐름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을테니까 말이지. 특히, 각종 금융위기에서부터 꼬로나로 인한 자본주의 시스템의 재편이
blog.daum.net
12월 9일로 끝난 연준의 자산매입... 총 72조 2,430달러...

그리고, 재구매계약 REPOS은 역시 0

유동성 통화스왑....
지난번 글에서, 7개 국가와의 유동성 통화스왑 역시 연장을 했지만, 그 금액은 줄어들고 있지. 하지만, 달러 대비 준기축통화 역할을 하고 있는 유로화와 엔화는 여전히 그 규모가 큰 것이 현실. 이는 연준 혼자서 현재의 비정상적인 금융체계를 짊어지는 것이 아니라, 유로, 엔과의 연합에 의한 합작. 코로나 위기가 어느정도 정리될 때까지는 3개 통화는 서로서로 상쇄하는 식으로 움직인다는 의미. 우리나라는 이 스왑자금 중 일부를 지난 3월이후 증권사 살리는데 투입했었지. ^^ 라고 이야기했었는데, 이번에는 스위스 관련이 눈에 띄네... ㅋㅋㅋ

왜 스위스 국립은행과의 스왑은 계속 유지가 될까? ㅋㅎ 그것도 10월 이후부터 약간씩 증가... 그리고 최근에 58억달러.
But the Swiss National Bank is the exception: Its swaps with the Fed have been increasing since October, and in the latest week reached $5.8 billion, which is strange given that it has a habit of selling swiss francs for USD to buy US stocks with. Whatever its shenanigans may be, it now holds over 60% of the Fed’s tiny amount of remaining dollar swaps:
ㅋㅋㅋ
그리고, 특수목적기금 SPV 와 지원프로그램...
요것도 지난 블로깅에서 이야기했는데, SPV는 올해를 끝으로 종료가 된다고... 그리고, 급여 보호 프로그램, 상업용 부동산 지원, 세컨드리마켓 지원은 지속되고 있고... 이 역시 변한건 없고...

그러나, 한가지 기억하고 가야할 것이 뭐냐 하면... 아래글에서 이야기했던 회사채... SPV가 사들인 ....
4/4분기부터 본격적인 조정이 시작된다.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9. 19. 16:45
http://blog.daum.net/indipekr/469
4/4분기부터 본격적인 조정이 시작된다.
FOMC 회의에서 나온 요점은 앞으로는 급여 보호 프로그램, 상업용 부동산 지원, 세컨드리마켓 지원에 중점을 두고 고용과 물가에 전념하겠다는 기존의 방침을 확인한 것. 거기에 일정기간의 2% 물
blog.daum.net
올들어 8개월간 美회사채 발행물량만 1180兆 넘어
코로나發 제로금리와 연준 SPV 직매입 덕에 호황
연준 전격적 정크본드 매입에 투기등급 발행도 봇물
기업 회사채 조달 의존도 높아…과도한 부채 부담 커
회사채 자금으로 자사주 사들여…주가 고평가 우려도
美 시장금리 반등 조짐…재무지표 부실한 ...
SPV는 법인 즉 유한책임회사. 요놈은 미 재무부에서 연준에 자금을 주고 설립한 놈으로, 연준의 입장에서는 재무부의 기여금으로 설립된 놈. 바꿔 말하면, 재무부의 부채를 가지고 설립되었다는 것. 따라서 연준의 입장에서는 재무부에 부채를 지고 있는 셈. 대략 1080억 달라... ---> 정부 부채
• Commercial Paper Funding Facility II LLC : 100 억 달러
• Corporate Credit Facility LLC : 375 억 달러,
• MS Facility LLC : 375 억 달러
• Municipal Liquidity Facility LLC : 175 억 달러
• TALF II LLC : 100 억 달러
• Money Market Mutual Fund 유동성 시설 : $ 15 억.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관련인데...
The Fed buys MBS in the “To Be Announced” (TBA) market, which take two to three months to settle, which is when the Fed books the trades. In addition, the Fed sells some MBS outright from time to time. And the timing between pass-through principal payments and settlements of trades is always off, creating this erratic line:

오호, 그래서 불규칙한 그래프 모양이다... ㅋㅎ, 지난번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이 부분은 도람푸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일부 정책으로 인하여 올 연말까지는 계속되는데, 문제는 그 이후이지. 하지만, 이 부분 역시도 지난번 블로깅하면서 이야기했었던, 부분으로 인하여 연체자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 같은데...
각종 정책을 새로 만들어서, 원금을 갚지않아도, 이자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도록 상환을 연기시키고, 유예를 해 줬기 때문이거덩. 달리말하면, 채권을 찍어서 달러를 발행하고, 거기에 특정 금액의 이자를 붙여서 풀었는데, 이걸 특정 기간동안은 원금이랑 이자를 갚지 않아도 되는, 특수한 프로그램을 가동하였기에, 그 기간동안은 대차대조표를 포함한 각종 시스템에서 제외가 된다는 말이지. ---> 잠정적인 정부 부채.
그래서,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었던, 7월까지 그러니까 상반기에 미국 상업용 부동산 및 모기지 대출의 연체는 10%를 넘어서고 있으며, 2000만명 이상이 올해 하반기 대출 연체로 인하여 집을 빼앗길 처지에 있는 것도 이쪽저쪽 뉴스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상황 --> 이 부분이, 1200만명으로 나오고 있고... 거기다가, 관련 법안이 또 시행되고 있는 것이지. 아마도 켈리포니아에서 먼저 시작했으니, 다른 주로도 확장되지 않을까 하는데... 이 역시 정부 부채.
"월세·전기세 밀린 미국인 1200만 퇴거 위기"
입력 2020.12.08 15:42 수정 2020.12.08. 18:1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20810060004959
"월세·전기세 밀린 미국인 1200만 퇴거 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역대 최악의 실업 대란이 발생한 미국에서 수천만명이 거리로 내몰릴 위기에 놓였다. 장기간 월세와 전기세 등을 내지 못한 세입자들이 당장 다음
www.hankookilbo.com
월세 미납 세입자 퇴출 금지 '1년 더’
[LA중앙일보] 발행 2020/12/08 미주판 1면 기사입력 2020/12/07 20:39
내년 1월말→12월말까지
가주의회 법안 연장 추진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8908876
월세 미납 세입자 퇴출 금지 '1년 더'
캘리포니아주 의회가 세입자 입주권을 보호하는 ‘강제퇴거 금지법안’ 1년 연장을 추진하고 나섰다. 코로나19 재확산 여파로 캘리포니아주 정부가 자택대피 행정명령을 재개하면서 경기침체
www.koreadaily.com
Treasury securities do the lifting
Over the past five months, the Treasury Department, in order to fund the budget deficits, has added $900 billion to the US national debt. And the Fed has bought $400 billion of it – monetizing 44% of this new debt.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한 증권으로 국채 지원, 이를 다시금 연준에서 매입...
9,000억 달러 추가, 연준은 4,000억 달러 매입...
즉, 정부가 부채를 짊어지고 연준이 채권을 담보로 돈을 푸는 상황...

그리고 이러한 채권들은 연준을 포함하여, 상업은행 그리고 미국내 투자자 및 개인들이 매입을 해주고 있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고... 지난번 이야기했던 블로그의 글과 크게 바뀐건 없다.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23. 07:53
http://blog.daum.net/indipekr/512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우선, 앞서 블로깅했던 내용들을 몇개만 보고 가자. 이걸 통해서, 거대한 흐름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을테니까 말이지. 특히, 각종 금융위기에서부터 꼬로나로 인한 자본주의 시스템의 재편이
blog.daum.net
그래서 결론은.....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2...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23. 11:17
http://blog.daum.net/indipekr/513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2...
그럼, 앞 글에 이어서 다시 보자. ㅋㅎ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23. 07:53 http://blog.daum.net/indipekr/512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blog.daum.net
그러면, 또 조기 위에서 약간 이상한게... 스위스 국립은행 통화 스왑인데... ㅋㅋㅋ
먼저, 아래 글에서 스위스·독일 중앙은행가들 "블록체인 기술, CBDC 필수 요소 아냐“라는 뉴스를 스크랩했었지. 그리고 얼마전에는 BIS 국제결제은행이 스위스의 국립은행과 CBDC 개념을 증명했다는 소식도 나오고, 은행 및 기관간 거래에서 사용되는 도매용 CBDC, 이를 토대로 소매용 CBDC까지 확대할 예정... BIS는 지난해 10월 스위스국립은행과 협약을 맺고 CBDC 연구를 진행해왔다. 또한 G20, IMF, 세계은행과 함께 금융 시스템 내 CBDC 사용을 공식화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 중.
즉, 연준에서는 중국과 같이 위안화 단독으로 만들어서 시험하고 통용하려는게 아니라, BIS, 스위스 중앙은행, IMF, G20, 세계은행 등등과 여러 분야에서의 검증과 테스트를 통해 단계적으로 만들어 간다는 이야기.
참고로, 미국의 디지털 달러의 경우, 준비는 끝났지만, 여러가지 변수들을 고려해서 제대로 시작할 꺼라는 파월 아저씨의 이야기도 있었고, 도람푸의 헛소리도 있고... 게다가 미국의 경우, 페이스북이 시도하려했던 리브라 등과의 연동, 통합 같은것도 고려하고 있는데.... 페이스북 사용자만해도 24억인데....ㅋㅋㅋ
뉴스에 올라오는 CBDC 그리고 MMT | World Matrix
indi 2020. 10. 5. 19:36
http://blog.daum.net/indipekr/492
뉴스에 올라오는 CBDC 그리고 MMT
오늘은 딱 하나만 이야기하고 쏘주 한잔 하러간다.... ㅉㅉㅉ 먼저, 지난번 글에 이어서... CBDC 2 | World Matrix indi 2020. 10. 4. 11:13 http://blog.daum.net/indipekr/487 CBDC 2 지난글에 이어서..... ㅋㅋ..
blog.daum.net
국제결제은행, 스위스 중앙은행과 디지털화폐(CBDC) 개념증명 실시
2020-10-27 화 11:43
https://www.tokenpost.kr/article-44851
국제결제은행, 스위스 중앙은행과 디지털화폐(CBDC) 개념증명 실시 - TokenPost
국제결제은행(BIS)과 스위스국립은행(SNB)이 올해 안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개념증명을 진행할 계획이다.27일(현지시간) 디크립트에 따르면 브느와 꾀레 BIS 혁신허브 총괄은 중국 상하이
www.tokenpost.kr
BIS·스위스은행,디지털화폐 개념증명 완료
이선영 기자 desk@coinreaders.com | 기사입력 2020/12/07 [19:27]
http://www.coinreaders.com/9424
≪코인리더스≫ BIS·스위스은행,디지털화폐 개념증명 완료
ACTIVIST 국제결제은행(BIS)과 스위스국립은행(SNB)이 개념증명 프로젝트 '헬베티아(Helvetia)'를 실시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분산원장기술(DLT)
www.coinreaders.com
위의 디지털화폐 개념증명에서는 DLT 즉, 분산원장이니까, 블럭체인 기반으로 증명을 했네. 암호화 기술은 RSA 기법 -> 블럭체인 기법 -> 양자암호 기법 이라고 이야기했고, 그리고 현재까지 알아본 바로는 전세계에서 양자암호 기술을 상용화하고 있는곳은 우리나라인 걸로 알고 있는데... ㅋㅋㅋ
양자인터넷도 구축되어지고 있는 상황. 다중우주론에 이어서 다중인터넷인가? ㅋㅋㅋ
어쨋든, 연준의 스텡스는 현재까지 저렇다는 이야기이고. 종합해 본다면, 여전히 부채는 늘어나고 있으며, 그 부채는 정부, 연준, 미국내 은행, 미국내 기업, 미국내 투자자 등으로 수렴되어지고 있다고 보면 되지. 이 역시 지난번 글에서 크게 변한 건 없고...
하지만, 미국의 현재 상황은... 최악으로 암울하지... 달러가 붕괴될꺼라는 이야기도 나오는 상황인데...(과연 붕괴될까? ㅋㅋㅋ) 그래서, 꼬로나로 박살나고 있는 미국은 연내 부양책 통과를 위해 협의중인데...
현재, 민주, 공화의 초당파 그룹은 부양책 원안에서 △중소기업 급여보호프로그램(PPP) △백신 배포 지원 △코로나19 감염검사 비용 △학교 방역 등 안전한 등교 준비 등 논란이 덜한 항목들로 구성한 7480억 달러 규모의 법안과 △기업 책임보호 조항 관련 예산 △주·지역정부 지원금 등 양당의 의견 차가 심한 항목을 포함한 1600억 달러의 별도 법안으로 쪼개서 발의하겠다고 이야길하는데, 공화당 쪽에서는 연방정부의 재정적자 확대를 우려한다는 이유로 5000억 달러 이상의 부양책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내걸고 있지.

美부양책 협상시간 일주일 번다…하원, 연방정부 셧다운 차단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2020.12.08. 06:1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20806094592159
美부양책 협상시간 일주일 번다…하원, 연방정부 셧다운 차단 - 머니투데이
미국 의회의 코로나19(COVID-19) 사태 대응을 위한 추가 경기부양책 협상시간이 일주일 연장될 전망이다. 부양책과 함께 논의되고 있는 연방정부 예산안의 처리시한을...
news.mt.co.kr
일단은 12월 18일까지 예산안 처리 기한을 연장한 상태이고..... 15일에는 FOMC의 올해 마지막 회의가 있기도 하고... 이번 회의에서는 연준의 채권매입과 추가적 통화 완화정책 여부를 눈여겨 보면 되지 않을까 하는데. ㅋㅋㅋ
도람푸는 연방법원에서의 선거 불복 관련 소송이 기각되었고(도람푸 파산하려나?), DDD 가 결정되는 조지아 주의 결선투표는 1월 5일이고, 그에 따른 최종 결과에 의한 미 대통령 이취임식은 1월 20일이고.... ㅋㅎ 바이든의 경기부양책은 어찌될지... ㅎㅎㅎ
백신이 나와서 일부 국가들에서는 접종을 시작했다는것은 인플레 우려에 따른 긴축으로의 전환점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어야 할 테고... IIF에서의 세계 부채 277조 달러, 30경이 넘는 부채... ㅋㅎ, 연준의 평균물가목표제와 더불어 2023년 즈음부터의 금리 정상화... 21년의 신용등급점수제와 22년의 리보금리공시 중단에 따른 SOFR 체제... MMT와 CBDC. ㅋㅎ 생각해볼꺼리들 엄청 많구나... ㅎㅎㅎ
우리나라와 관련해서도 현재 여러가지 법안(공정경제3법? 기업규제3법?? 등등 외 ㅋㅎ)과 정책들이 거대 여당과 땜빵정권(ㅋㅎ)을 통해서 통과되고 있지. 위에서 이야기한 여러가지 내용들과도 비교해서 생각해보면, 상당히 비슷한 부분이 보이거덩... 국내 핀테크와 관련해서, 한은과 금융위의 지급결제권 따먹기도 눈에 보였었고, 그에 따른 전금법 개정에 의한 핀테크업계와 카드업계의 혜택도 생각해봐야지... 물론, 이 부분은 조기 위에서 이야기한 CBDC와도 관련이 있지. ㅋㅋㅋ
거기다가, 소득주도성장에 따른 탄력근로제, 주52시간제 확대시행 등등도 생각해보고... ---> 이건 한류와 더불어 K-방역이라는 놈의 성공여부와도 관련되어져 있으니까, 꼬로나 감염되지 말고 자기 관리 잘해야지만, 자영업자들과 소상공인들이 다시 일어서는데에도 도음이 되는거야... 으이구 ~~~~
어쨋든, 요놈들이 서로서로 다 얽히고 꼬여 있는것이거든. 꼬로나 이후, 즉 포스트 꼬로나에서 보게 될,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의 체질 개선이랑 말이지... ---> 이걸 또,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로 가는거 라고들 하두먼... 나원참 ~~~~
지난번에 못버티면 가는거야라고 했었는데, 이제는 하나 더 붙이자.
못버티면 가는거야....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15. 09:54
http://blog.daum.net/indipekr/506
못버티면 가는거야....
지옥행 특급열차 타지말라고 했었는데... ㅉㅉㅉ 물론, 빚내서 집사라 할때 잽싸게 사서 짭짤하게 이익내고 팔아제낀 사람들은 다행이지... 성공 투자냐, 성공 투기냐... ㅋㅎ, 어쨋던 성공 !!! ㅋ
blog.daum.net
바뀌지 않으면 또 가는거야... ^^
[VIEW POINT] 아마존, 한국 진출 의미는? 한국은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최대 격전지
김기정 기자입력 : 2020.11.24 11:16:11 수정 :2020.11.24. 11:19:24
미중 신 기술냉전 갈등 속, 중국 알리바바와 격돌
SKT와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구축
동남아 시장 공략 가능성도
아마존 물건판매 그칠 땐, `찾잔 속 태풍` 가능성도 <------ 포인트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20/11/1207730/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20/11/1207730/
www.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