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백업

과연 언제까지 버틸까...

A.K.D. indi 2022. 11. 7. 03:46
728x90

과연 언제까지 버틸까...

시즌2--------/나의 이야기

2021-07-22 11:22:48


시진핑의 중국 공산당 말이지... 테이퍼링에 이어서 시작될, 미연준의 금리인상 여파까지 더해서 언제까지 버틸까... 게다가, 머리가 깨져서 피를 흘리게 되는 매서운 공격이란 어떤걸까... 군사옵션을 사용할 수 있을까...

 

 

 

 

지난글에 이어서, 미국 정부는 홍콩 주재, 중국 공산당 중앙정부와의 연락판공실 관리 7명을 추가제재...

 

계속되는 추가 제재...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7. 11.

https://blog.daum.net/indipekr/585

 

계속되는 추가 제재...

먼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해서 4차유행이 현실화 되는거 같아서 안타깝네. 지난번 글에서도 4차변이가 변수라고 언급을 했는데... 이대로라면, 꽤 심각한 상황이 될 듯한데... 믿을건 각

blog.daum.net

 

제재 대상은 홍콩특별행정구(LOCPG) 중앙인민정부 연락실 부국장급. Chen Dong, Yang Jianping, Qiu Hong, Lu Xinning, Tan Tieniu, He Jing, Yin Zonghua 7명.

 

이미 미국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등 몇몇 고위 관리를 이미 제재한 상태에서, 베이징과의 연락책인 중앙정부 연락판공실 관리 7명을 추가제재한데 이어서, 홍콩에서 활동하는 자국 기업들에 국가보안법 시행에 따른 위험에 대해 경보까지 추가했고...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5일 기자회견에서 홍콩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라며 중국 정부는 1997년 홍콩을 넘겨받을 때 했던 약속을 깼다라고 비판...

 

 

https://edition.cnn.com/2021/07/16/politics/us-china-hong-kong-sanctions/index.html?cid=external-feeds_iluminar_newsbreak

 

US issues sanctions, warns businesses of risks in China and Hong Kong as Beijing promises to 'respond strongly'

The Biden administration sanctioned seven Chinese officials Friday amid continued crackdowns in Hong Kong by the Chinese government.

www.cnn.com

 

 

https://www.state.gov/issuance-of-a-hong-kong-business-advisory/

 

Issuance of a Hong Kong Business Advisory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n July 16, the U.S. issued a business advisory to caution U.S. businesses about emerging risks to their operations and activities in Hong Kong.

www.state.gov

 

 

https://www.state.gov/risks-and-considerations-for-businesses-operating-in-hong-kong/

 

Risks and Considerations for Businesses Operating in Hong Kong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www.state.gov

 

 

강제노동과 인권유린을 이유로 중국 신장 지역에 관련된 기업과 거래·투자를 끊으라고 경고한 데 이어, 홍콩 내 사업 활동의 위험성도 경고하고 나선 것. 중국은 단호하게 반격할 것이라며 반발...

 

미 국무부 등 관련 부처는 이날 공동으로 홍콩에서 사업 활동의 위험을 경고하는 9쪽짜리 권고문을 발표.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시행한 이후 홍콩에서 이뤄지는 미국 기업들의 활동에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 지난해 630일부터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국가 분열, 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을 범죄로 규정하고 처벌.

 

HKBA-FOR-FINAL-RELEASE-16-JUL-21.pdf

HKBA-FOR-FINAL-RELEASE-16-JUL-21.pdf
0.40MB

 

 

국무부는 권고문을 요약한 성명에서 기업들이 보유한 자료에 대한 위험, 거래 관련 위험, 사업에 중요한 정보 접근 제한, 홍콩이나 중국 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은 기업이나 개인과 관여한 기업에 대한 위험 등을 나열. 권고문은 “(홍콩에서) 기업들은 영장 없이 전자적으로 이뤄지는 감시의 위험 및 당국에 기업 및 고객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또한 홍콩 내 기업이나 개인이 미국이나 다른 국제적 제재를 준수했다는 이유로 중국으로부터 보복을 당할 수 있다고 지적.

 

재무부는 별도로 천둥(陳冬) 등 중국 홍콩 주재 연락판공실 소속 간부 7명을 홍콩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들에 적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위를 한 혐의로 제재 명단에 추가한다고 발표. 지난해 미 의회에서 통과된 홍콩자치법에 근거한 것으로 미국 내 자산 동결 등의 불이익.

 

미국은 지난해 중국이 홍콩보안법 제정을 강행하자 중국 본토와 달리 홍콩에 부여해온 관세, 투자, 비자 발급 등과 관련한 특별대우를 박탈. 중국이 홍콩에 부여하기로 약속한 고도의 자치가 더이상 보장되지 않게 됐기 때문. 조 바이든 대통령은 15일 백악관에서 홍콩 관련 질문을 받고 홍콩 상황이 악화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홍콩에 관한 대응에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비판.

 

홍콩 관련 경보와 추가 제재는 18일부터 시작되는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의 한국, 일본, 몽골 등 아시아 아시아 순방 직전에 나왔고, 미국과 중국은 셔먼 부장관의 아시아 순방에 중국 방문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무부가 지난 14일 발표한 자료에선 중국 방문은 언급되지 않음.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셔먼 부장관의 중국 방문 가능성이 아직 남아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함. ---> 하지만, 7월 22일 오늘... 중국 외교부는 21일 저녁 질의응답 형식의 성명을 통해 "미국 측이 셔먼 부장관 방중 및 미·중 관계와 관련해 의견을 교환할 계획을 (먼저)제안했고, 양측의 협의에 따라 셔먼 부장관은 25~26일 중국 톈진을 방문한다"고 확인.

 

바이든 정부는 중국의 민주주의 및 인권 탄압을 강력 비판하며 제재와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음. 미국은 지난 13일 국무부와 재무부, 상무부, 국토안보부, 무역대표부, 노동부가 공동으로 지난해 7월 발령된 신장 공급망 관련 경보를 갱신하면서 신장 지역 강제노동 및 인권유린과 연관된 기업과 거래 또는 투자를 할 경우 미국 법에 저촉될 수 있으므로 거래를 끊으라고 촉구.

 

중국은 미국의 홍콩 관련 경보와 중국 관리 추가 제재를 내정 간섭이라고 비판하며 보복을 경고. 중국 외교부는 17일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의 제재는 기껏해야 휴지 조각일 뿐”이라면서 “제재로 중국을 압박하려는 것은 허황된 망상”이라고 비판. “홍콩 사무는 순전히 중국 내정”이라면서 “어떠한 외세든 홍콩 사무에 관여하려는 것은 왕개미가 큰 나무를 흔들어 움직이려 하는 것으로, 주제 파악을 못하는 것”이라고 밝혔음.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특파원공서는 “어떤 외세라도 중국을 괴롭히려 하면, 14억 중국 인민의 피와 살로 쌓은 강철 만리장성 앞에 머리가 깨지고 피를 흘리게 될 것”이라고 한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의 발언을 인용하며 “단호히 반격할 것이라고................

 

 

 

 

 

 

또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미국의 아마존이 중국의 대형 소매판매업체가 운영하는 온라인 매장 340개를 무더기로 폐쇄하거나 자금을 동결...

 

아마존, 중국 대형 소매업체 온라인 매장 340개 폐쇄

댓글 2021-07-12 (월)

▶ 중국기업 상대로 잇단 조처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210711/1371057

 

9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아마존은 올해 상반기 선전 여우커수 테크놀로지’(여우커수)가 아마존에 개설한 온라인 매장 340개를 폐쇄하거나 자금을 동결하는 조치를 취했다.

 

중국의 기술 허브인 광둥성 선전시에 본사를 둔 여우커수는 중국의 대형 온라인 소매판매업체 가운데 한 곳이다. 이 회사의 모기업인 티자 정보 산업은 최근 기업공시를 통해, 아마존이 규칙 위반이 의심된다는 이유로 자세한 설명 없이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다.

 

아마존에 의해 폐쇄되거나 자금이 동결된 여우커수의 아마존 내 온라인 매장은 전체 아마존에 등록된 이 회사의 온라인 매장 가운데 30%를 넘는다. 티자 정보 산업은 아마존의 이번 조치로 여우커수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406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강력 반발...

 

 

의 홍콩 제재에 보복 경고.."제멋대로 날뛰면 매서운 공격"

피용익 입력 2021. 07. 17. 13:27 댓글 25

https://news.v.daum.net/v/20210717132701383

 

美의 홍콩 제재에 中 보복 경고.."제멋대로 날뛰면 매서운 공격"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미국 정부가 홍콩에서 활동하는 자국 기업에 사업 위험성을 경고하고 홍콩 인권 탄압에 연루된 중국 관리 7명을 제재하자 중국 정부는 강하게 반발하면서 보복을 경고했

news.v.daum.net

 

미국, 홍콩 내 자국 기업에 사업 위험성 경고

홍콩 인권 탄압에 연루된 중국 관리 7명 제재

중국, 즉각 강력 반발.."단호하게 반격할 것"

[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미국 정부가 홍콩에서 활동하는 자국 기업에 사업 위험성을 경고하고 홍콩 인권 탄압에 연루된 중국 관리 7명을 제재하자 중국 정부는 강하게 반발하면서 보복을 경고했다.

 

 

 

 

http://www.locpg.gov.cn/jsdt/2021-07/17/c_1211244883.htm

 

香港中联办声明:美国制裁废纸一张 守护香江幸甚至哉

香港中联办声明:美国制裁废纸一张 守护香江幸甚至哉 来源: 中央政府驻港联络办          发布时间: 2021-07-17 香港中联办声明: 美国制裁 废纸一张 守护香江 幸甚至哉   本网讯 中央人

www.locpg.gov.cn

홍콩 중앙정부연락사무소 출시 시기: 2021-07-17

 

홍콩 특별행정구 중앙인민정부 연락사무소는 17일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가 홍콩의 비즈니스 환경을 얼룩없이 얼룩내고 내 관리들에게 이른바 제재를 가한 것을 강력히 규탄하며, 이러한 움직임은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규범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은 중국 정부와 국민의 국익을 수호하는 노골적인 도발이며, 또한 중국 정부와 국민의 국익을 수호하는 노골적인 도발이라고 지적.

 

...

 

성명은 홍콩이 중국의 홍콩이며, 중국 인민은 어떤 외부 세력도 괴롭힘, 억압, 노예제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홍콩 문제에 개입하고 중국의 발전을 억제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실패할 운명이며, 미국 측에 대한 완고한 행동, 중국 인민은 확실히 두통을 줄 것이라고 강조

 

 

 

 

그리고, 지난 15일 OPEC+의 원유증산 타결소식... 반대하던 UAE와 타결

주요 산유국들이 원유 증산에 전격 합의했다. 그동안 원유 생산 할당량을 높여줄 것을 요구하며 반대표를 던져온 아랍에미리트(UAE)와의 증산 합의가 극적으로 이뤄진 것이다.

 

4일 로이터통신 등은 소식통을 인용해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원유를 증산하는 데 최종적으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일 이후 세 차례 연기됐던 OPEC+ 회의는 이번에 극적으로 결실을 맺었다. OPEC+에 참여하는 주요 산유국 관계자들은 적절한 시기에 다음 회의 날짜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원유 증산 타결 소식이 전해진 직후 원유 가격이 하락했다가 빠르게 회복했다고 전했다. OPEC+ 협상이 계속 결렬되면서 지난 5일 장중 배럴당 77달러를 돌파했던 북해산 브렌트유는 이날 배럴당 76.50달러로 보합세를 보였다.

 

OPEC+가 극적 타결을 이룬 것은 UAE의 원유 생산량 기준을 높이는 데 동의하면서다. OPEC 관계자는 로이터통신에 “UAE의 생산 기준선 상향을 허용해주는 대신 감산 합의 만료 시한을 내년 4월에서 8개월 더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UAE의 찬성을 얻어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초 감산 합의 만료 시한이던 내년 4월부터는 UAE의 생산 기준선이 하루 365만 배럴로 올라갈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다른 OPEC+ 참여 국가도 생산 기준선을 조정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로이터통신은 덧붙였다.

 

앞서 이들 주요 산유국 간 불협화음은 UAE의 어깃장에서 비롯됐다. OPEC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비OPEC을 대표하는 러시아는 8월부터 연말까지 매달 하루 평균 40만 배럴씩 증산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는 오는 12월에는 지금보다 하루 평균 200만 배럴가량의 원유를 증산하겠다는 얘기다. OPEC+가 지난해 초 코로나19 여파로 급락한 유가를 회복시키기 위해 하루 평균 970만 배럴의 원유를 감산했는데, 이후 빠른 세계 경제 회복세에 따라 원유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UAE는 감산 완화 방침에는 동의했다.

 

하지만 UAE는 감산 합의 만료 시한을 내년 말로 연장하겠다는 방안에는 반기를 들었다. UAE감산 시한을 연장하려면 각국의 원유 생산량을 재산정해야 한다며 자국의 주권적 권리를 강조했다. 특히 이란이 미국과의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에 성공할 경우 이란산 원유가 시장에 대량 쏟아질 것에 대비하려면 각국에 할당된 원유 생산량을 재고해야 한다는 게 UAE의 주장이었다.

 

 

 

 

이로 인하여, 국제유가는 네년까지는 일부 변화는 있겠지만, 보합세를 유지하겠지. 또한, 미쿡 셰일업계의 햇지용 펀드들의 만기 시기와 더불어서... 하지만, 아래의 뉴스를 잘 봐두고 대응을 해야겠지... 

 

 

미국, 이란-중국 석유 거래 제재 방안 검토

2021-07-19 (월)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210719/1372126

 

이란-중국 석유 거래 제재 방안 검토 - 미주 한국일보

미국이 이란과 중국의 원유 거래를 틀어막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 미국이 정체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의 돌파구를 찾기

www.koreatimes.com

 

WSJ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 돌파구 찾기가 목적

미국이 이란과 중국의 원유 거래를 틀어막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19일 미국이 정체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협상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제재 강화를 고려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현재 이란은 중국에 하루 100만 배럴에 달하는 막대한 원유를 수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란과 중국의 원유거래를 차단한다면 이란 정부에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지난해에도 베네수엘라로 항해 중이었던 이란 유조선에서 석유를 압류하는 등 이란을 압박해왔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 같은 제재 방안은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실행될 계획이다.

 

이란 핵합의는 2015년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및 독일 등 6개국과 맺은 것으로, 이란 핵 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8년 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제재를 부활시키자 이란도 핵 활동을 일부 단계적으로 재개했다. 

지난 4월 핵합의 복원 협상이 시작됐지만 현재 잠정 중단됐고, 이란은 농축 금속 우라늄 생산에 들어갔다. 

미국은 이란이 합의를 준수해야 제재를 해제한다는 입장이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핵합의 복원 협상에 대해 "시간이 무한정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어느 순간이 되면 미국의 계산도 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리고, 중국의 부채...

 

 

https://www.scmp.com/economy/china-economy/article/3135883/china-debt-has-it-changed-2021-and-how-big-it-now

 

중국 부채: 2021년에 변경되었으며 현재 얼마나 됩니까?

중국의 전체 부채는 2020년 말 국내총생산(GDP)의 270.1%로 2019년 말 246.5%에서 증가했다.

미국 달러 부채를 포함한 중국의 미지불 외채는 2020년 2조4000억 달러에 달했다

 

정부 연계 싱크탱크인 중국 국가금융개발기관(NFID)은 2020년 말 국내총생산(GDP)의 270.1% 전체 레버리지는 2021년 1분기 GDP의 268%로 2.1%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중국 채권 시장은 현재 미국의 두 번째로 큰 시장입니다. 2016년부터 채권 연결 프로그램과 자격을 갖춘 외국인 기관 투자자 제도와 같은 정부 통제 제도를 통해 외국인 투자자가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산 관리자, 뮤추얼 펀드, 가족 사무실 및 헤지 펀드를 포함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4 월 말에 3.62 조 위안의 중국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은행 간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채권의 약 3.4 %를 차지했습니다. ---> 잘 봐두고... 향후, 2023년을 기점으로 이슈가 될 테니...

 

중국 인민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이들 채권의 총 58%가 국채이며 27.9%는 정책은행 채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중국 부채 - SCMP
2021. 1분기기준 중국 부채 - 중국 국가금융개발기관(NFID) -

 

居民部门 거주부문, 非金融企业部门 비금융기업부문, 政府部门 정부부서, 中央政府 중앙정부, 地方政府 지방정부, 实体经济部门 실물경제부문, 金融部门资产方 금융부문자산측면, 金融部门负债方 금융부문채무자

 

 

게다가, 미군 철수에 따른, 신장 지역에 동투르키스탄 건국이 목표인 아프간 무장단체 ETIM의 위구르 독립 주장 그리고 스탄3국을 통한 이슬람세력 유입... 

 

계층·지역 간 불평등,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심각한 인구 감소, 미국과의 패권전쟁에 '경제 디커플링', 중국 우월주의와 일방주의에 의한 지구촌 각국의 반발...

 

일대일로와 중국몽을 토대로 한 시진핑의 중국 공산당이, 전세계의 패권을 장악하고 모든 인류위에 군림하겠다는 허황된 망상은 절대로 이루지 못할 것 같은데... 분열, 붕괴 이후에는 북한이라는 이슈도 생기게 될 테고... 통일로 가는 지름길인가...

 

 

여하튼... 잘 봐둬야지... 앞으로 엄청 흥미진진해질텐데...

 

 

3월 시행된 금소법 ---> 9월까지 계도기간

7월 차주별 DSR 40% 1단계 실시

8월 미국은 리보금리 중단(7월말 종료), SOFR로 대체. 그리고, 1달 연장한 PPPLF 역시 7월말 종료 ---> 8월 잭슨홀 

9월 130조가 훨씬 넘는 대출유예, 이자유예 만료 ---> 훨씬 더 늘었구나, 204조 2000억이라...

10월 대형금융회사정리회생제도에 의한 전 금융권 보고서 제출

11월 한국은행 금리인상... <--- 예상

12월 Libor 금리고지 중단, 대체지표 고지 <--- 전세계 공통

 

그럼 네년엔? 미연준 본격 테이퍼링에 이어서 미 연준 금리인상 시기 도래

그럼 한은은 또 금리인상...

언제까지 몇 번에 걸쳐서 금리를 인상하나요?

...

..

.

 

 

가계의 경우, 일단 투기꾼들부터 잡고 ---> 자산시장에서의 증세 시작, 못버티는 가계는 금융 노예로 전락.

기업들의 경우에는 좀비, 한계기업 정리 ---> 유동성 공급 중단. 못버티는 기업은 정리, 인수합병, 국유화 또는 민영화.

정부의 경우,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1차적 유동성 공급(협의의 MMT) ---> 통화스왑 실시. 못버티는 정부는 IMF에 의한 구제금융 실시.

* 선진국과 더불어 함께 동참해야 되는 각종 규범, 규칙들의 제정 및 시행은 공통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은것들을 후회하는 시기이구나... 반드시 후회하게 될 꺼라고 했었는데, 이제는 후회해봐야 늦었지... ㅉㅉㅉ

 

 

몇가지만 더 이야기하자... 지난글에서...

 

몇가지 소식들...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7. 15.

https://blog.daum.net/indipekr/587

 

몇가지 소식들...

확실히 하반기로 점차 다가갈수록 흥미있는 소식들이 많아지는구나... 우선은 아래의 뉴스를 기억해두고... Zuckerberg: Facebook to pay creators $1 billion for content through 2022 https://www.go..

blog.daum.net

 

 

리보금리가 중단되면서부터, 많은 것들이 바뀌게 된다고 그랬지... 현재, tga자금으로 rrp시장을 통한 집행 역시 단기자금 성격의 MMF 시장과 연관되어 있는데, Fidelity, JP Morgan, Blackrock, Goldman Sachs, Morgan Stanley, Schwab, UBS, Legg Mason, DWS Investments, Royal Bank of Canada, AllianceBernstein, Wilmington Funds 요놈들 잘 봐두라고도 했고... 이건 또한, 미중간의 패권전쟁이랑도 연결될테니까... 

 

조기 위에서 파랜색으로 밑줄쳐서 표시해뒀는데, 자산 관리자, 뮤추얼 펀드, 가족 사무실 및 헤지 펀드를 포함한 외국인 투자자 말이야... 이 중에서 Fidelity 하나만 좀 까보자면...

 

5/31/2021 기준, 피델리티 대중국 펀드 A-USD, US$1,364,746,817.75의 자금을 집행하고 있는 곳이 Fidelity. 통상 2~3년 투자... 코로나 이후, 본격적으로 진입... 현재, 1년 기준 수익률 41%... 미 재무부 tga자금 ---> 일부는 mmf 시장 지원,  Fidelity 같은 놈들 말이야... 만기가 되는 2023년을 기준으로..., 다가올 테이퍼링, 금리인상과 더불어서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여러가지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하나가 더 붙는다는걸 알아야지... 대중국 양털깎기.... 으이구

 

리보금리 중단과 SOFR 대체 고지... 이것도, 지난번 글들에서 몇번이나 이야기해줬는데... ㅉㅉㅉ

 

왜일까? ㅋㅎ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6. 8.

https://blog.daum.net/indipekr/570

 

왜일까? ㅋㅎ

속도조절 시리즈를 통해서 연준은 계획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했는데... 속도 조절...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3. 14. https://blog.daum.net/indipekr/546 속도 조절... 미국 코로나... 코로나.... 이제..

blog.daum.net

 

 

피델리티 대중국 펀드 A-USD

클래스:A-USD

ISIN: LU0048580855 주식

 

 

 

그리고, 이런 이야기까지 할 필요는 없는데, 한소리 하자.... 꼴통 유투버가 미국 10년만기 채권 금리를 보고 뭐래더라... 초울트라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오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 몰려들어가는 수요 폭발로 채권발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어쩌고 저쩌고.... 그래서 한소리 해줬더니, 너 대깨지? 나가... 하고 차단하네... ㅋㅋㅋ

 

여보세요, 이상한 논리와 준비되지 않은 정보로 구독자들 어그로 끌고 있는 유투버 꼰대 양반... 당장 미쿡에서 7월31일로 리보금리 중단하고 SOFR로 대체할 예정인데, 무슨 채권발행을 폭발적으로 늘리고 있다고 헛소리를 하는것이며, 미 연방정부의 부채한도도 7월 31일까지 법적으로 28조 5천억달러로 묶여있는데 뭔 부채를 더 늘리는 채권발행을 천문학적으로 하고 있다고 사기를 치는건지.., 그래서 연준의 통화정책은 리보금리가 대체될때까지 미루고 있는건데, ... 게다가, 이렇게 리보금리 대체와 관련된 시기를 기다려야 하니, 재무부의 tga 자금을 이용해서 1조 5천억달러를 집행한 것이고... 또한, 이는 기존 발행했던 mmf 시장의 자금줄을 어느정도까지 지원해 주는 역활도 하고 있는건데... 그리고, 미 연준에서의 부채한도 협상 이후에서야, 다시금 리보금리 대체 지표인 SOFR을 기준으로 내수 인프라 투자를 위한 채권을 발행하게 되는건데... 말이되는 소리를 해야 믿어주지... 챠트만 보고, 앞뒤 따져보지도 않고, 초울트라하이퍼 인플레가 오기에 언능 미국 채권에 투자하라느니, 골드바 사라느니.... 으이구.

 

우리나라? 우리나라 역시 4분기부터 즉, 10월부터는 리보대체 지표가 가동되기에, 작년 말부터 현재까지 리보금리 연동 신규 채권 발행은 안하고 있다고... 작년 하반기부터 채권발행 거의 안하고 재정정책으로 현재 유지해 나가고 있는걸 보고도 모르네... 추경말이야 추경... 지난번에 이야기했지?, 정부가 부채를 짊어지게 된다고... ㅉㅉㅉ

 

(리보 산출중단) ‘22.1월 이후 리보금리 산출중단이 예상되므로 금융업권이 긴장감을 가지고 대응해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ㅇ 특히, 금년 3분기까지 적용금리를 리보에서 대체금리로 전환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4분기 이후로는 리보연동 계약의 신규체결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

 

210226_보도자료_리스크대응반 회의_FFF_배포.pdf
0.45MB

 

LIBOR금리 고지중단 역시 연기...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2. 6.

https://blog.daum.net/indipekr/537

 

LIBOR금리 고지중단 역시 연기...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7. 20. https://blog.daum.net/indipekr/451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몇년전에도 잠시 언급되었

blog.daum.net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7. 20.

https://blog.daum.net/indipekr/451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몇년전에도 잠시 언급되었던 내용인데, 리보금리 변경 혹은 중단말이지. 2021년도에 시행되려다가 또다시 연기가되었는데, 이번엔 2022년 1월 1일부로 공식 중단된다고 떳기에 어디 한번 살펴봐야

blog.daum.net

 

 

 

맨날 사기쳐봐라, 내가 속아주나 안속아주나... ㅉㅉㅉ

 

 

이건 공포분위기 조성하는게 아닙니다.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4. 20.

https://blog.daum.net/indipekr/559

 

이건 공포분위기 조성하는게 아닙니다.

속도 조절...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3. 14. https://blog.daum.net/indipekr/546 속도 조절... 미국 코로나... 코로나.... 이제는 지긋지긋할때도 되었지... 언제 끝나려나.... 여하튼, 현재의 인플레..

blog.daum.net

분명히 6월정도까지 변동성에 유의하라고 했고...

 

게다가, 또 뭐라? 나라 망해서 대네수엘라에 그리스 꼴 난덴다... 나원참...참나원...원참나.... 맨날 유투브 채널 켜놓고 내가 망했기에 나라도 망한다면서, 망해야한다면서, 교주한명에 신도들 집단으로 모여, 지들끼리 대통령하고 경제부총리하고 장관하면 잘 할 수 있다며, 정부를 향한 욕질로 열올리고 있는 꼴을 보니.......... 니들은 앞으로 도태될 당사자로 낙첨이다. 잘되면 유투버 사기꾼은 될 수 있을꺼 같구나.... 미안하고, 안타깝지만, 니들 몇백명, 몇천명 아니 몇십만명 망해도 나라 안망한다... 제발, 좀 정신들 차려라...으이구.... 

 

내가 아는 요즘 젊은이들... 물론, 날밤 까면서 코인시장에서의 물타기로 롱, 숏 때리는 친구들 말고, ICT 분야에서 열심히 머리 쥐어뜯어가면서 새로운 기술 공부하며, 신기술과 혁신을 위해서 노력하는 젊은이들은 인공지능, 실시간 정보, 엣지 컴퓨팅, 이미지 및 영상 처리 프로세싱, 3차원 공간정보, 해커톤 대회준비, 자연현상 감지 프로세싱, pytorch, yolo 등을 이용한 각종 딥러닝, 각종 알고리즘, 미러 디텍팅, 객체 자동 추적 모듈, ai 학습 전처리 모듈 연구, 실측 gis 기반의 3차원 모델링, 자율주행에서의 실시간 사고감응 모듈연구... 등등 여러 가지 분야에 매진하고 있어서 말이지... 이런 친구들을 보면, 가까운 미래에 충분히 가능하리라고 보거덩... 혹시 알어? 생각보다 빨리, 쟈비스나 프라이데이가 나올지 모르지... ㅋㅋㅋ

 

어쨋거나, 이러한 젊은 친구들이 있는 한, 나라 안 망한다. 망하는 건 탐욕과 욕심으로 신용을 남발하고, 감당하지 못할 빚, 부채를 잔뜩 짊어지고 세상을 향한 욕설만 해대는 꼴통들이니까, 대네수엘라니, 대르헨티나니, 대리이스 같은 소리는 니들끼리 하고... 사기, 조작, 왜곡, 구라, 뻥질에 속지 말라고 늘상 이야기했는데... 기술과 지식을 기반으로 땀 흘리고 노력한 사람에게는 반드시 기회가 온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에게는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지혜란 것도 생기게 되지... 앞으로의 세상은, 특히 이 나라에서는 사람이 재산이고 자원이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축적된 지혜가 필요할 테니까 말이야...

 

 

소득에 맞는 생활을 하라고 했고, 개인의 신용등급 유지와 유동성 확보하라고도 했고.......

 

사기, 조작, 왜곡, 구라, 날조, 뻥질 금지, 그리고 극단적 선택 금지...!!!

 

으이구 ~~~~~~~~~~~~~~~~~~~~ 쾅 !!!

 

 

 

PS) 아래 내용은 다음정권, 그러니까 네년 3월 대선 그리고 6월 지방선거 이후, 2023년에 반드시 이슈가 될 테니까 잘 기억해둬야겠지. 현재, 숨어버린 5만원권과 더불어 중요하게 봐야할 것이 리디노미네이션의 비율과 디지털원화... 디지털원화와 연동된 고액권들은 현찰로 숨겨둘 수 없게 될 테니까 말이지... 그리고 리디노미네이션 비율은 1000원 : 1환의 형태 ---> 이로 인하여, 1달러는 대략 1환... 이는 다시금 mCBDC와 연계되어서 사용... 단, 한바탕 난리가 나고 나서야 시작되겠지... 10만원권 발행, 리디노미네이션, 디지털원화로 인하여 다시금 인플레는 나타나겠구나, 4차 산업과 더불어서... 

 

 

10만원권, 리디노미네이션, 디지털원화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7. 20.

https://blog.daum.net/indipekr/589

 

10만원권, 리디노미네이션, 디지털원화

2021년 현금사용행태에 관한 조사 실시계획 한국은행 발권국 화폐연구팀 조사배경 발권국에서는 경제주체별 현금 사용에 관한 특성 및 관련 여론을 파악하기 위하여 3년 단위의 정례 조사를 실

blog.daum.net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