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조절...
미국 코로나...

코로나.... 이제는 지긋지긋할때도 되었지... 언제 끝나려나.... 여하튼, 현재의 인플레우려와 관련한 금리 부분을 좀 살펴보자.
코로나와 관련해서는 지난번에 알려줬던, 실시간 정보확인에서 월드미터 참조하면 되고... 다른곳도 많지만 이것저것 그래프랑 수치 데이터가 보기 편해서 말이지...
blog.daum.net/indipekr/462
실시간 정보 확인
https://earth.nullschool.net/ earth :: a global map of wind, weather, and ocean conditions See current wind, weather, ocean, and pollution conditions, as forecast by supercomputers, on an interactiv..
blog.daum.net
어쩃거나 1년 가까이 코로나로 인하여 전세계가 펜더믹에 빠져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작금의 현실에서.... (망할놈의 중공은 코로나는 지네꺼 아니고, 나머지 좋은것은 몽땅 다 지네꺼라고 난리 브루스네... ㅉㅉㅉ, 여하튼 중국은 잘 째려보고 있어야 하거덩... ㅋㅎ)
백신 생산 및 보급, 그리고 접종 ---> 집단면역 가시화 + 바이든 정권 경기부양책
1월 소매판매지수 5.3%증가(전월대비) - 예상 상회
1월 공장주문 2.6% - 예상 상회
2월 비농업부문 고용 37만9000개(전월대비) - 예상 상회
2월 생산자물가지수 0.5% - 예상 부합
2월 소비자물가지수 0.4% - 예상 부합
2월 근원 생산자물가지수(식품, 에너지 제외) 0.2% - 예상치 부합
2월 비농업부문 취업자수 37.9만명 – 예상 상회
2월 월간 연방재정수지적자 3110억 달러 – 예상 상회
2월 전체 자동차판매 1570만대 – 직전치 상회
3월 6일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71.2만건 – 예상 하회
3월 연준 베이지북, 경제 완만한 성장 및 물가 완만한 상승 예상
...
..
.
2020년 기후변화에 의한 국제곡물가 상승.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셧다운, 락다운으로 인한 재고물량 소진, 이제부터는 재고물량 부족에 의해, 원자재 수급 본격 시작. -> 수요 회복(경기 회복이 아님). 특히, 제조업관련 부분에서는 공장을 놀릴 경우 더 많은 문제가 발생됨. 일부에서는 작년 하반기부터 미리 원자재를 확보하여 나름대로 선방하는 곳도 있음. -> 원자재 가격 상승
국제유가 역시 작년 하반기 대략 11월부터 상승 모멘텀을 타고 있었고, 기후변화에 의한 미국 한파(미국 텍사스에서 발생한 한파 - 텍사스 지역은 미국 전체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량의 각각 40%, 25%를 차지하며, 전체 정제 생산능력의 30%를 차지하는 북미 최대 정제설비 지역이다. 30년 만에 발생한 기록적인 한파는 원유 생산과 파이프라인 이동을 비롯해 정전에 따른 주요 정제시설 가동 중단 등 에너지 공급망 전반에 타격. 미국 원유 정제능력의 약 20%가 가동을 멈췄고 모티바, 엑손모빌 등 약 400만 배럴 규모의 정제설비가 가동을 중지) 그리고 일본의 지진을 포함한 불의 고리 이상현상 등과 더불어 지난 3월초 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멘의 후티 반군이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유 시설에 드론과 미사일 공격을 감행으로 유가 급등 초래, 하지만 OPEC+ 에서는 원유 감산규모를 당분간(4월말 혹은 5월까지) 유지. 즉, 강보합세를 유지하는 쪽으로 유도할 것으로 예상.(60달러 이상인 현 상황에서는 셰일업계의 동향도 알아볼 것.)
시장에서는 4월 이후, 2분기 하반부터 코로나 확산 대폭 감소 예상.
대규모 재정·통화완화정책 지속, 강한 성장 회복세, 인플레이션 두려움, 실질적인 긴축·금리인상 우려... 등을 포함하여 위에서 말한, 이런저런 이유로 시장에서는 금리인상에 배팅. 그렇다면, 유동성이 가장 높다는 미국 국채, 그 중에서도 T-Bill을 제외한 채권에 배팅. 따라서, T-Bill 금리 ↓, T-Note ↑ , T-Bond 금리 ↑... 특히, 5년물 및 7년물은 연준의 금리인상 시기(2023년 하반기 또는 그 이후)와 맞물려 급등하는 모양새...





아래는 5년물, 10년물을 기준으로 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거덩.


2008년 7월 이후 5년 국채수익률이 10년을 넘어선 적은 없고, 또 5년과 10년 수익률 격차는 어느 때보다 가파른 상황.
참고할 것은, 미 국채의 금리(수익률)가 높아지면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국가들의 국채나 일본 국채 대비 투자 매력이 높아졌다는 점과 독일의 10년만기 국채 금리는 마이너스(-) 0.3%이고, 같은 만기 일본 국채 금리는 0.1%대...
앞으로도 미국 정부에서는 유동성 공급을 위해서 국채 발행을 중단할 수는 없는데... 거기다가, 보호무역주의는 계속되기에 미국 내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재정을 계속적으로 추진을 해야 되는데...
인플레라.... 그렇다면, 연준의 선택은? 긴축인가?? 그로하여 또 발작하는것인가??? ㅋㅋㅋ
자, 오는 3월 16~17일 미 연준의 2번째 FOMC 회의... 과연 뭘 꺼내어 놓을까? ... 제목에서 말했던, 속도 조절과 맞물려서 나는 또 무엇을 떠들어 대려고 하는 걸까? ㅎㅎㅎ
작금의 인플레 우려와 관련하여 금리 측면에서, 연준이 어떤걸 꺼내어 놓을지를 살펴보기 전에 몇가지를 생각해 보고 가자.
1. 추가부양책 ---> 바이든, 2100조원 부양책 상원 통과 ... 최저임금 2배 인상은 좌초.
2. 미국 대형은행에 대한 '자본규제 완화' 연장 여부. ---> SLR 요놈이랑,
3. TGA계정(미국 재무부가 연준에 맡기는 예금) 활용 가능성. ---> 요걸 좀 살펴 봐야지.
에이, 안되겠다. 막걸리 한잔하러 가야되서... ㅋㅋㅋ
나가기전, 잠시동안 한번 생각들 해보자고, 어떤것들을 꺼내어 놓을지... 몇가지만 말하자면...
1번 항목은 계속 되어야 하고, 안그러면 다들 나가 떨어져 길바닥에 나 앉거덩... 특히, 지난번 연준이야기 하면서 적어둔 모기지, 특수목적기금 SPV, 및 지원프로그램, MBS를 포함해서 ... 이번 회의에서는 어떻게 바뀌는지 잘 봐야지... 2월에 몇몇 부분은 보이던데..... 2번이랑 3번 항목이 재미나게 꼬여 있는데.... 3번 항목은 지난주에 써핑하다가 어? 이게 왜 이렇게 많은 금액이 들어가 있나? 하고 깜짝 놀란거라서 말이지... 게다가, 3번 항목도 참 재미있거덩... 요것이랑 묶여 있는게, 일종의 채권 공매도 세력... 헤지펀드들을 포함한 기관투자자들이 엮여 있거덩... ㅋㅎ REPO 금리와도 물려서 말이지... 그래서 채권금리가 또 올라가는 현상도 발생하고...
여하튼, 지금 당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긴축발짝은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고... 서서히 진행 될 꺼야...
평균물가목포제... 그리고, 지난번에도 이야기 했었던 리보금리 고시중단... SOFR ... 몇일전에 산은에서도 현 상황에 편승해서 채권 발행한걸로 알고 있거덩... 리보금리를 대체가 결정되는 네년중반기부터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될꺼야... 한국은 올 하반기 잘 봐두고, 이주열이가 네년 2월 임기 만료거덩... 임기 마지막에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하고 갈 수 도 있지...ㅉㅉㅉ
아...!!! 급하게 나간다고 리보금리 고지중단이 연기된걸 깜박했네... ㅋㅋㅋ
LIBOR금리 고지중단 역시 연기...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2. 6.
blog.daum.net/indipekr/537
LIBOR금리 고지중단 역시 연기...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7. 20. https://blog.daum.net/indipekr/451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몇년전에도 잠시 언급되었
blog.daum.net
아직, 코로나가 완전히 끝난것도 아니고, 전달과 비교해서 예상치에 부합하는 것이지 고용과 실업문제가 나아진 것도 아니지. 게다가 실물경제는 아직 꽝 ~~~... 연준의 대차대조표를 잘 살펴보면, 조기 3번 항목이랑 물려 있는 부분이 보일텐데.... 은행의 건전성 강화를 위해서, 2번 항목은 조정을 할 듯 보이고...
마무리는 하고 자야지... ㅡ,.ㅡ'
우선, 2번 항목.
코로나 팬데믹 이후, 지난해 4월부터 미 대형은행의 국채 매입을 늘리기 위해 도입했던 '보완적 레버리지비율'(SLR) 규제 완화가 이번달 21일로 끝나는 걸 불안요인으로 지목하는데, 이 SLR 완화 조치가 연장되지 않을 때 대형 은행들이 보유 중인 미 국채를 매각할 수 있어서다. 이 규제 완화가 연장되느냐 여부도 미 국채시장 변수 중 하나...
◆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upplementary leverage ratio·SLR)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은행에 부여한 자본규제다.
SLR은 총자산 2천500억달러 이상인 미국의 대형은행에 적용되는 레버리지 비율로 총 익스포저 대비 자기자본을 3%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가 규모와 상호 연계성, 활동성 등을 고려해 선정하는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은행(GSIBs)에 선정됐다면 이 비율을 5% 이상 유지해야 한다. 미국의 대형은행 8곳이 해당한다.
미국 연준은 최근 SLR 산정방식을 개선했다. 내년 3월 말까지 분모에서 국채와 지급준비금을 차감해 은행지주회사의 비율 준수 부담을 낮춰준 게 골자다.
미국이 경기 부양을 위한 무제한 양적완화, 긴급 유동성기구 설치 등을 결정하며 은행의 지급준비금이 확대되자 SLR 비율을 지키기 어려워진 점을 배려한 결정이다.
연준은 이번 규제를 통해 은행이 적극적인 대출에 나설 여력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조치가 GSIBs의 레버리지 익스포저를 1조3천600억원 줄여주고, SLR 비율은 0.5~1.2%포인트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현재 연준은 SLR에 포함되는 외국 중앙은행 예치금과 정부 보증채권, 레포 익스포저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취합 중이다.
은행의 자금중개 기능을 강화하고자 SLR 규제는 2021년 이후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하지만, 내가 볼땐, 은행의 건전성 강화를 위해서 더이상 연장하지 않을 것 같아보이는데... 그리고, 이를 통하여 시장에 나오는 단기 채권들은 연준에서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OT·Operation Twist)를 통해 장기채권 매입으로 처리. 일드커브컨트롤(YCC.Yield Curve Control)을 통한 시장 안정화...
그리고, 3번 항목..... 그 전에 작년 연말에 살펴봤었던, 연준의 스텡스를 좀 보고... 여기서 분명하게 이야기했었는데... 정부가 부채를 짊어지고, 연준을 포함한 상업은행 그리고 미국내 투자자 및 개인들이 매입을 해 주고 있다고...
어디, 또 좀 볼까? ㅋ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12. 14.
blog.daum.net/indipekr/516
어디, 또 좀 볼까? ㅋ
12월의 연준의 양적완화와 관련해서 말이지... 우선, 지난 11월에 블로깅했던 내용을 상기하고, 또 살펴보자.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 시즌2--------/나의 이야기 indi 2020. 11. 23. 07:5
blog.daum.net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11. 23.
blog.daum.net/indipekr/512
공황의 심화와 새로운 시스템의 태동 1...
우선, 앞서 블로깅했던 내용들을 몇개만 보고 가자. 이걸 통해서, 거대한 흐름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을테니까 말이지. 특히, 각종 금융위기에서부터 꼬로나로 인한 자본주의 시스템의 재편이
blog.daum.net
그래서, 상업 은행이 연준에 예치 한 준비금은 7 월 이후 1 조 달러, 지난 4 주 동안 3300 억 달러 증가했으며, 수요일부터 수요일까지의 주당 890 억 달러를 포함하여 3 조 6000 억 달러...

그리고, 위에서 잠깐 이야기했던, 미 재무부가 연준에 예치한 금액... 1조 7900억 달러(2020.7월 기준). 이 금액이 바이든 정권으로 넘어오면서 1조 6000억 달러의 Treasury General Account(TGA). 이 금액을 6월까지 5천억 달러로 줄인다는 결정... 그렇다면, 1조 1000억 달러의 당좌예금 TGA의 유동성이 있다는 이야기. 지난 4주동안 2660억 달러를 줄였네...

이 이야기는 새로운 부채, 빚을 통해서 자금을 조달하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지. 바꿔 말하면, TGA 계좌에서 연준의 예치금 계좌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지. 건전성 강화 차원에서... 위에 있는 아래 그래프프에서 빠진 금액만큼, 위에 있는 그래프, 즉 연준의 순수 유동성으로 말이지...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적인 전환에도 부작용이 있는데... 바로 REPO 시장이거덩... ㅋㅋㅋ 요걸 이용하는 헤지펀드, 기관투자자 등이 일종의 채권 공매도를 하게 되어 단기 자금 시장에서의 문제를 나타내게 되는데....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상승 베팅 레포 시장 강타
곽세연 기자 승인 2021.03.10. 06:24
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6144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상승 베팅 레포 시장 강타 -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곽세연 특파원 = 미 국채금리가 올라갈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베팅이 단기 자금시장을 시험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보도했다.헤지펀드 등 기관투자자들은 가
news.einfomax.co.kr
ㅋㅎ, 하지만, 이 부분도 이야기했고, 리보금리 고지중단...... 미국채를 담보로 하는 환매조건부채권거래(Repo) 1일물 금리. 고시 중단 예정인 리보(LIBOR)의 대표적 대체금리로 제시되며 현재는 주로 미국과 유럽의 초우량 기관들이 변동채권 발행에 활용되는 SOFR.
LIBOR금리 고지중단 역시 연기...
시즌2--------/나의 이야기
2021. 2. 6.
blog.daum.net/indipekr/537
LIBOR금리 고지중단 역시 연기...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7. 20. https://blog.daum.net/indipekr/451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몇년전에도 잠시 언급되었
blog.daum.net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시즌2--------/나의 이야기
2020. 7. 20.
blog.daum.net/indipekr/451
리보 고시 중단에 따른 대처방안들도 생각해봐야지.
몇년전에도 잠시 언급되었던 내용인데, 리보금리 변경 혹은 중단말이지. 2021년도에 시행되려다가 또다시 연기가되었는데, 이번엔 2022년 1월 1일부로 공식 중단된다고 떳기에 어디 한번 살펴봐야
blog.daum.net
미 재무부가 1조6000억 달러에 달하는 미 중앙은행(Fed) 계좌(TGA)에서 예치된 현금을 줄이면서 최근 단기자금 시장인 환매조건부채권(레포) 시장에선 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진 상태입니다. 원래 채권을 담보로 맡기고 돈을 빌리는 사람이 이자를 주는 게 맞지만, 지금은 오히려 이자를 받게 된 겁니다. 돈이 넘치다보니 그렇게 된 겁니다. 미 재무부는 또 단기채 발행을 줄이고 장기채를 확대하는 추세입니다. 그래서 최근 단기채 공급이 모자란 상황.
즉, 현재 과열된 채권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 이번 FOMC 회의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들을 토대로, OT 그리고 YCC 가 다시금 시작되지 않을까? ... 일종의 속도조절 말이지... ㅎㅎㅎ
그리고, 이건 단지 미국뿐만의 문제가 아니지... 몇번에 걸쳐서 이야기 한 것이지만, 미중간의 무역, 패권, 기축통화 전쟁으로 연결되는 것이니까, 이걸 항상 머리속에 넣어두고 살펴봐야 되는 것이거덩... ㅋㅎ, 현재, 중국은 어쩌고 있을까? 이번 양회에서 뭐라뭐라 떠들었던거 같은데... 요즘, 대만쪽과 남지나해였나? 뭐, 남중국해... 여하튼 긴장이 고조되고 있을텐데... 반도체 굴기 어쩌고 저쩌고 했지만, 말짱 꽝 되고나서.... 현재 노리고 있는 것이 대만, 그것도 반도체 부분...TSMC... 그리고 홍콩 선거제 개편... 이젠 완전히 홍콩을 공산당이 먹겠다는 이야기지... 게다가, 이번에 또다시 ICT 관련 핀테크 기업들 반독점법으로 한바탕 난리 났었지? 이건 결국 중국의 디지털화폐 DCEP랑 연결될 꺼거덩... 암호화폐 비트코인? ㅋㅎ, 좀 있어봐봐, 곧 미국을 포함하여 많은 곳에서 CBDC가 이슈가 되어 나타나게 될 테니까... 이것도 대략 2023 전후에 물려있었나 모르긋네.... ㅋㅎ
여하튼 잘 봐둬야하는 부분이거덩..
연준에서의 본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은 2023년 중반기부터 시작될 것 같으니깐, 준비들 해 둬야할 테지...
늘 이야기 했었지만, 각자 신용등급 관리 잘해야되고, 유동성 확보 해둔걸로 버텨야하는 시기인데...
그리고, 재기를 꿈꾸는 사람들, 개인회생이나 파산 신청하지말고 버텨보라고 한거... 최소 10년 이상을 내다보고 결정을 해야 될 꺼야. 이건 시즌 1에서도 이야기 한것이지만, 개인회생이나 파산을 통하여 탕감을 받는 건 좋은데, 최소 7년이상에서 10년 동안은 죽었다 생각하고 살아야 되는 시스템이거던. 지난 몇년동안 많이 바뀌긴 했는데, 여전히 금융권에서는 그 기록이 남아서 어떤것을 하려고 하더라도 제약이 들어오는 시스템이라서 말이지... 특히, 재기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탕감한 금액들에 대한 변제가 우선인 시스템이라.......이건, 판례도 있어서 잘 생각하고 회생신청이나 파산신청을 해야 된다는 거 알고 있어야 하지. 그래서, 재기를 꿈꾸는 사람들이란 전제를 달아둔것인데... 흠...
여하튼, 사기, 조작, 왜곡, 구라, 뻥질 금지.... 그리고, 극단적 선택 금지.... 뉴스에 나오지는 않지만, 극단적 선택하는 사람들 부지기수로 많은것도 알고 있는데... 이번에 LH 고위직들... ㅉㅉㅉ
으이구 ~~~~~~~~~~~~~~~~~~~~~~~~~~~~ 쾅 !!!
camouflage - The Great Commandment
Some people suppress you
They partch you and reap a disaster
Reeducation for the infants
Who demanded for an innocent instance
The great commandment
Shows the contempt
Between the world and their embarrassing pavement
Believe the scholars, read the readings
Realize the man who says anything
The great commandment
The needers believe you
They treat you
Like survivor of a disaster
Reeducation for the infants
Who demanded for an innocent instance
The great commandment
Shows the contempt
Between the world and their embarrassing pavement
Believe the…